영화 > 용가리 , Yonggary , 1999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영화 > 용가리 , Yonggary , 1999

영화정보

용가리 , Yonggary , 1999

본문

기본정보
영화명(국문)용가리
영화명(영문)Yonggary
상영시간90분
제작연도1999
개봉(예정)일1999-07-17
제작상태개봉
영화유형장편
제작국가한국  
장르SF   액션  
감독심형래 ( SHIM Hyung-rae )
심의번호99-F056
관람등급전체관람가
출연배우
리차드 B. 리빙스톤닥터 캠벨
해리슨 영Harrison Young닥터 웬델 휴즈
참여 영화사
영구아트무비제작사
스탭     열기
줄거리
우랄산맥 북부 지방의 폐쇄된 광산. 켐벨 박사는 아직까지 세상에 공개되지 않은 새로운 종 티라노사우루스의 50배에 가까운 거대한 공룡화석이 이 지점에 있다는 것을 알게 되고 그의 조수인 홀리와 함께 발굴을 시작한다. 발굴작업 막바지에 하늘에서 천둥 번개와 함께 녹색광선이 날아와 공룡화석에 내리꽂히자 화석이던 용가리는 살아 움직이는 거대한 괴수가 되고, 미국의 LA를 닥치는 대로 파괴해 일대 혼란에 빠뜨린다. 한편 탐사를 떠났다가 실종됐던 휴즈 박사는 용가리의 비밀이 적혀있는 예언서를 발견하고 홀리와 함께 예언서를 해독한다. 용가리가 외계의 생맹체에 의해 조종받고 있는 사실을 알게 된 이들은 해독문서의 비밀을 이용하여 용가리를 공격, 용가리는 본성을 찾고 시민들을 구하지만 외계인은 용가리 몸집의 두배 가량 되는 싸이커라는 새로운 괴물을 다시 지구에 보낸다.
이미지, 동영상




네이버 이미지 검색
이순재, 67년 영화 '용가리' 출연 모습 공개
본격적인 한국괴수영화의 효시작품 대괴수용가리 1967!
용가리 (Yongary) O.S.T : 민트씨디
영화: 대괴수 용가리
익스트림무비 - sf영화 검색하다보니 고 김기덕감독님 괴수물 대괴수용가리가 있네요
네이버 웹문서 검색
용가리》 는 1999년에 개봉한 대한민국의 괴수 영화로, 심형래 감독이 제작하였다. 심형래 감독은 1967년에 개봉한 《대괴수 용가리》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용가리》를 제작하였다. 총 제작비는 약 115억원이다. 한편, 1996년 《드래곤 투카》이후 심형래 감독이 해당 영화를 통해 극장용 영화 연출활동을 재...
용가리 는 대한민국의 1967년 영화 《대괴수 용가리》에서 처음 등장하는 괴수이다. 등장 대괴수 용가리 (1967년) 용가리 (1999년) 외부 링크 (영어) 대괴수 용가리 (1967) - 인터넷 영화 데이터베이스 (영어) 용가리 (1999) - 인터넷 영화 데이터베이스
용가리라는 단어는 용과 연관되어 대충 용 + 대가리를 합쳐 큰 짐승 혹은 용과 관련된 동물 그 자체를 가리키는 단어로 사용된다.
우리나라의 본격 괴수 영화의 출발 | 젊은 사람들은 “용가리”라 하면 심형래가 1999년에 제작한 영화 <용가리>를 떠올리겠지만 이보다 30년 전에 이미 <용가리> 영화가 처음 만들어졌다. 우리나라 괴수영화의 시작이라 할 수 있는 <대괴수 용가리>는 1967년에 제작되었다. 이 영화는 당시 일본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던 괴수 영화 중 <고지라>를 참고...
《 대괴수 용가리 》(大怪獸-)는 1967년 공개된 대한민국의 김기덕 감독의 영화 작품이다. 트리비아 1999년 심형래 감독에 의해 《용가리》라는 이름으로 리바이벌(리메이크)되었다. 이순재, 오영일, 남정임 등이 주연했고 극동흥업에서 제작하였다. 약 1300만원의 제작비가 소요되었다. 1954년 제작된 일본 영화...
용가리 1967년에 제작된 <대괴수 용가리>에 기초를 두고 만든 SF 판타지 영화 총1백억원이 넘는 제작비가 투여되었으며,작년과 올해 칸영화제 필름마켓에 참가해 4백만달러 이상의 계약고를 올려 화제가 되었던 영화다.
용가리라는 단어는 용과 연관되어 대충 용+대가리를 합쳐 큰 짐승 혹은 용과 관련된 동물 그 자체를 가리키는 단어로 사용된다.용가리 통뼈라는 숙어로 사용될 때도 있다. 또한 1967년의 영화, 『대괴수 용가리』와 1999년의 영화, 『용가리』에 나오는 괴수를 뜻한다. 국립국어원에 따르면 용가리라는 단어의 자세한 기원은 알 수 없는 듯하다.# 다만 '용갈...
컨텐츠 저작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오픈API, 영상물등급위원회 오픈API, 네이버 오픈API, TMDB API 서비스를 통해서 구현되었으며,
컨텐츠의 저작권은 각 사이트에 있습니다.

사이트 정보

Copyright © Baragi.Net.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