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 > 서울예술고등학교 동문음악회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공연 > 서울예술고등학교 동문음악회

서울시 세종문화회관 공연 및 전시 정보

공연 > 서울예술고등학교 동문음악회

본문

기본정보
공연명서울예술고등학교 동문음악회
공연시작일2012-07-13
공연종료일2012-07-13
장소세종체임버홀
시간오후7시30분
연령미취학아동입장불가
티켓정보전석 20,000원
장르기악
프로그램 정보

Members
Vn. 황지은, 홍유정, 김나현
Va. 유혜리
Vc. 이윤하
Fl. 정한솔
Pf. 정다현, 이지영, 강지연
Vo. 이한나
∴총 10명

Program

1부

F.Doppler (1821-1883) 7분
Duettino sur Des Motifs Americain Op.37 pour flute, violon et piano
Fl.정한솔, Vn.김나현, Pf.강지연

A.Piazzolla (1921-1992) 10분
The Four Seasons of Buenos Aires 中 Primavera Portena (Spring)
Vn.황지은, Vc.이윤하, Pf.정다현

W.A.Mozart (1756-1791) 10분
String Duo No.1 in G major for violin and viola K.423
3mov. rondeau:allegro
Vn.홍유정, Va.유혜리

R.Schumann - F.Liszt (1811-1886) 4분
Piano solo Myrten, Op.25 No.1 "Widmung"
Pf.이지영

R.Schumann (1810-1856) 4분
Myrten, Op.25 No.1 "Widmung" 헌정
Vo.이한나, Pf.이지영

J.Massenet (1842-1912) 8분
Opera "Manon" 中 Aria \’Je marche sur tous les chemins\’
Vo.이한나, Pf.이지영

Intermission

2부

C.Chaminade (1857-1944) 10분
Concertino for flute Op.107
Fl.정한솔, Pf.강지연

C.Saint-Saens (1835-1921) 8분
Dance macabre Op.40
Pf.정다현, Pf.강지연

E.Grieg (1843-1907) 10분
String Quartet No.1 in g minor Op.27 1mov
Vn.홍유정·김나현, Va.유혜리, Vc.이윤하

G.Gershwin (1898-1937) 7분
I Got Rhythm
Vo.이한나, Pf.이지영

J.Brahms (1833-1897) 15분
Piano Quartet in f minor Op.34 3-4mov
Vn.황지은·홍유정, Va.유혜리, Vc.이윤하, Pf.정다현

Program Note

1부

Albert Franz Doppler(1821-1883)
Duettino Op.37 sur Des Motifs Americain pour flute, violon et piano
플루트주자 겸 작곡가였던 도플러는 19세기 폴란드 렘베르크 출생으로 어려서부터 오보에 연주자인 아버지로부터 교육을 받고 13세 때 빈에서 데뷔하였다. 그 후, 1847년 헝가리 부다페스트 오페라극장의 수석 플루트 연주자, 1858년 빈 궁정 오페라극장의 수석 플루트 연주자 및 발레 지휘자로 활약하였으며 <헝가리 전원 환상곡>과 독일 오페라를 비롯한 여러편의 오페라와 발레음악, 플루트 협주곡을 작곡하였다.도플러 작품 중 Duettino Op.37 sur Des Motifs Americain pour flute, violon et piano은 아직 우리나라에 잘 알려지지 않은 곡 중에 하나이다.

Astor Pantaleon Piazzolla (1921-1992)
The Four Seasons of Buenos Aires 中 Primavera Portena (Spring)
 아스토르 피아졸라 (Astor Pantaleon Piazzolla, 1921년 3월 11일~1992년 7월 4일)는 아르헨티나의 탱고 음악 작곡가이자 반도네온 연주자이다. 자신만의 탱고 스타일로 독창적인 아르헨티나 탱고의 시대를 열었다. 이 작품은 피아졸라의 대표곡 중 하나로 흔히 Vivaldi의 사계와 비견되는 것처럼 4계절을 상징하는 4개의 곡이다. Verano Porteno(여름, 1964), Otono Porteno(가을, 1969), Primavera Portena(봄, 1970), Invierno Porteno(겨울, 1940)으로 구성된 모음곡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개개의 곡들은 원래 모음곡과 상관없이 여러 시기에 걸쳐 개별적으로 작곡되었으나 후에 바이올리니트스 Gidon Kremer가 자신의 앨범을 계획하는 과정에서 모음곡으로 구성되었다.

Wolfgang Amadeus Mozart (1756-1791)
String Duo No.1 in G major for violin and viola K.423 中 3mov. rondeau:allegro
모차르트가 Michael Haydn의 Archbishop Colloredo를 위한 여섯 개의 세트를 완성시키기 위하여 쓴 두 개의 곡 중 첫 번째인 Wolfgang Amadeus Mozart\’s String Duo No. 1 in G major for violin and viola, K. 423 는 1783년 여름에 쓰여 졌다. 모차르트와 하이든 듀오 둘 다 비올라에게 많은 더블 스탑들을 요구하는 반면 모차르트의 듀오는 비올라가 바이올린과 거의 같은 비율의 여러 패시지를 갖는다는 점에서 하이든의 작품과는 차이를 보인다. H. C. Robbins Landon은 특별히 K.423은 모차르트가 String Quartet in G major, K. 387을 쓰면서 얻은 지식들을 지녀 왔다고 지필 하였다. 비올라 파트의 옥타브를 내리고 베이스의 음자리표를 변형시킴으로써 이 곡은 이미 첼로로도 연주가 가능하며 Werner Rainer는 Verlag Doblinger를 위한 편곡과 이와 같이 편집하였다.

Robert Alexander Schumann - Franz Liszt (1811-1886)
Piano solo "Widmung"
1839년부터 1848년까지 약 10여년동안 리스트는 연주가로 가장 바쁜 시기를 보냈다. 그의 연주여행은 유럽 뿐 아니라 아일랜드, 포르투갈, 러시아, 터키에까지 이르렀다. 비루투오소 연주가로 무대에서 청중을 만나는 일이 가장 중요했기 때문인지 명확하게 알 수 없으나 이 시기 리스트는 많은 작품들을 편곡하여 연주하였다. 슈만의 가곡 역시 예외가 아니었다.   리스트의 편곡을 통해 슈만의 서정성이 더욱 화려하고 풍성해짐을 볼 수 있다. 그 중 ‘헌정’은 1840년 슈만이 클라라와의 결혼식 전 그녀에게 바친 곡이며, 리스트가 1848년에 편곡하였다.

Robert Alexander Schumann (1810-1856)
Myrten, Op.25 No.1 "Widmung" 헌정
이 곡은 슈만이 사랑하는 신부 클라라와 결혼하기 전날, 사랑하는 신부 클라라에게 바친 <미르테의 꽃 Op.25>이란 가곡집에 들어 있는 첫 번째 곡으로, 슈만의 가곡 중에서도 아주 걸작으로 가장 많이 불려 지는 노래 중 하나이다. 독일의 낭만파 시인으로 유명한 뤼케르트의 시에 의한 것으로, 연인을 그리워하는 이 열렬한 시는 당시의 부인 클라라슈만에 대한 슈만의 감정을 호소하고 있음에 틀림없다. 연인에게 호소하듯이 시작회어 때로는 분위기를 고양시키며 3부 형식으로 진행된다. 생기발랄하게 연주하는 피아노반주도 아주 인상적이며 특히 후주는 시의 여운을 어렴풋이 느끼게 한다.

당신은 나의 영혼, 나의 심장
당신은 나의 기쁨, 나의 고통
당신은 나의 세계, 그 안에서 살아 간다네
나의 하늘인 당신, 그 속으로 날아가리
오 당신은 나의 무덤, 그 안에
영원히 나의 근심을 묻었다오!

당신은 나의 안식, 마음의 평화
당신은 내게 주어진 하늘
당신이 나를 사랑함은 나를 가치 있게 만들고
당신의 시선은 나를 환히 비춰주며
너무도 사랑스럽게 나를 이끌어 준다오
나의 선한 영혼을, 보다 나은 나를!

Jules Emile Frederic Massenet (1842-1912)
Opera "Manon" 中 Aria \’Je marche sur tous les chemins\’
마스네는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초반에 걸친 프랑스 최대의 오페라 작곡가이다. 그는 교향곡보다는 오페라를 작곡하기 위해 태어났다고 할 정도로 오페라에 강한 열정과 관심을 보였고, 죽을 때까지 총 26작품을 만들며 오페라에 정진(精進) 하였다.그의 최고의 걸작으로 꼽히는 오페라 <마농>은 감성적인 선율과 능란한 성격 구현 기법이 특징이며 특히 주도적인 주제나 동기로 주인공들의 등장을 나타내거나 감정을 묘사한다. 이 곡은 마스네의 오페라 마농 제 3막 1장에 주인공 마농이 부르는 아리아로 레치타티보 부분에서는 관현악 반주를 억제시키고 그 위에 대화체로 놓아 표현함에 있어 혁신적인 마스네의 스타일을 보여준다.

2부

Cecile Louise Stephanie Chaminade (1857-1944)
Concertino for flute Op.107
작곡가 샤미나드는 생상과 라벨의 동 시대 프랑스 여성 작곡가로써 교향 연습곡 작품28, 비창 연습곡 작품124, 샤콘느 피아노 소나타 등 200곡이 넘는 피아노 독주곡을 전하며 뿐만 아니라 교향곡, 오페라, 발레곡, 실내악곡, 관현악곡, 100여곡의 가곡에 이르기까지 우아하고 고급스러운 리듬감으로 실로 방대한 장르의 음악을 남긴다. 단지 여성이라는 이유만으로 음악사에서 소외된 위대한 음악가이다.샤미나드는 주로 피아노를 위한 작품을 많이 남겼지만, Concertino for flute Op.107은 플룻 연주자들 사이에서는 꼭 한번 연주해야 할 곡목으로 뽑을 만큼 인기 있는 곡이고, 영화음악과 같이 아름답다는 평을 듣는 곡이다. 샤미나드가 남긴 유일한 관악기와 오케스트라가 협연하는 작품이기도 하다.

Camille Saint-Saens (1835-1921)
Dance macabre Op.40
19세기 프랑스 작곡가 카미유 생상스가 작곡한 죽음의 무도(Danse Macabre)는 1874년에 작곡이 끝나고 1875년 1월 24일 파리에서 초연이 이루어진 작품으로, 그의 여러 교향시 작품들 가운데 가장 성공적인 평가와 대중적 환호를 받았다. 몽티니 드모리 부인에게 헌정한 이 곡은 왈츠 리듬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작품으로서 프랑스의 시인 앙리 카자리스(Henri Cazalis)의 시에 바탕을 두고 있다. 새벽을 알리는 닭의 울음소리로 산산이 흩어져가는 해골들이 깊은 밤 시간 동안 벌이는 광란의 춤을 유머러스 하면서도 그로테스크한 터치로 그려낸 곡이다. 원무곡의 선율을 중심으로 한밤중 묘지에서의 죽은 자들의 무도회를 묘사하고 <분노의 날>의 선율을 곡 가운데 인용하고 있다.

Edvard Hagerup Grieg (1843-1907)
String Quartet No.1 in g minor Op.27 1mov.
그리그는 3개의 현악 4중주곡을 작곡하였으나 오늘날 남아 있는 것은 1878년에 완성된 String Quartet No.1 in g minor Op.27 1mov 가 유일하다. 제1악장 서두에 자작의 가곡 <음유시인의 노래>의 첫머리 선율이 전곡을 지배하고 있으며 소박한 북구적 서정과 민속 무곡을 바탕으로 한 불꽃같은 열정이 잘 조화되어 있다. 노르웨이 정서가 짙게 베인 이 작품은 누군가에 의해 노르웨이 4중주곡으로 이름 지어졌다.1악장은 느린 서주로 시작하는데 가곡의 분위기를 띄는 모토가 이곳에서 나타난다. 그 뒤 알레그로 몰토인 두번째 테마로 곧이어 들어간다. 이 곡에서 쓰인 그리그의 모티프는 그리그의 유명한 피아노 협주곡의동기와 유사한데, 이는 곡 전체를 통해 드러나며, 순환적 통합성이 잘 들어난다.

George Gershwin (1898-1937)
I Got Rhythm
이 곡은 1930년, 작곡가 거쉰이 만든 뮤지컬 Girl Crazy에 삽입된 곡으로 이 후 많은 재즈 뮤지션들에 의해 연주되면서 유명해졌고 "리듬 체인지"로 알려진 그 곡의 코드 진행은 찰리 파커와 디지 길레스피의 비밥 표준 "Anthropology(Thrivin\’ From a Riff)"와 같은 많은 다른 재즈 곡들의 대표적인 재즈 스탠 다드의 하나로 자리 잡게 되었다. 이 곡은 5음 음계의 단순하고 경쾌한 선율을 가지고 있고 특히 명료하고 독특한 화성진행을 보여준다.

Johannes Brahms (1833-1897)
Piano Quartet in f minor Op.34 3-4mov
브람스의 특징은 그의 실내악곡에서 잘 표현되었다고 평하는 사람도 있는데 그는 비교적 규모가 큰 심포니로 그 구상에 있어서는 관현악이라기보다는 오히려 실내악에 가깝다는 것이다. Piano Quartet in f minor Op.34는 그가 29세 때, 작곡하였는데 2개의 바이올린과 첼로, 비올라, 피아노 등 5개의 악기를 위하여 작곡하였다. 브람스의 곡 중에서도 피아노 5중주는 이곡 하나 뿐이다. 이 작품은 브람스의 독특한 우울함이 있기는 하지만 인생에 대한 즐거움과 희망에 찬 태도를 볼 수 있으며 기교적으로나 음악적으로 보아 이 작품은 슈만의 실내악에 비해일보 전진한 작품이라는 사람도 있다.


출연진 소개

연주자 Profile.

Vn. 황지은
-08 서울예술고등학교 졸업
-12 세종솔로이스츠 연주
-11 영산 영아티스트 독주회
-09 Seoul National University Philharmonic Orchestra와 협연
-09,10 Texas Music Festival 참가
-08 유림 유망아티스트 독주회
-07 영산음악콩쿨 2등
-07 The Music 콩쿨 1등
-06 국민일보 음악 콩쿨 2등
-04 광주시향, 목포시향 협연
-04 한국 음악 협회 콩쿨 1등
-02 전국 학생 음악 콩쿨 1등
-현재, 서울대학교 음대 기악과 졸업,The Indiana University Bloomington master of music(석사) 입학 예정
-사사: 이경선

Vn. 홍유정
-08 서울예술고등학교 졸업
-04 한독브람스 콩쿨 2위
-04 CBS 콩쿨 1위
-05 음연콩쿨 3위
-06 처인전국음악콩쿠르 부문대상
-09 Asian Youth Orchestra 아시아 9개국 순회연주(concertmaster)
-현재, 서울대학교 음대 4학년 재학중
-사사: 이종숙, 장현정, 이원정

Vn. 김나현
-05 선화예술중학교 졸업
-08 서울예술고등학교 졸업
-97 Ryde Eisteddfod 입상
-00 성남 YMCA 제3회 청소년음악콩쿠르 입상
-01 성남 YMCA 제4회 청소년음악콩쿠르 입상
-03 한미콩쿠르 입상
-04 대진대 콩쿨 입상, 청주대 콩쿨 입상
-06 Academie Internationale de Courchevel 참가
-07 우수신예초청 청소년음악회 서울 심포니 오케스트라와 협연 (지휘: 윤용운)
-07 협주곡의 밤 루마니아 바카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와 협연 (지휘: Gerhard Lessky)
-07 음악신문사콩쿠르 입상
-08 Osaka International Music Competition 에스푸아르상 수상,
-08 4th International Summer Music Acamdemy of Rhodes 참가
-09 New England Conservatory 입학
-09 5th International Summer Music Academy of Rhodes 참가
-10 6th International Summer Music Academy of Rhodes 참가
-현재, New England Conservatory of Music 4학년 재학중
-사사: 김동현, 정남일, 이순익, Paul Biss, Lucy Chapman

Va. 유혜리
-05 예원학교 졸업
-08 서울예술고등학교 졸업
-01 점자악보출판후원 음악회 연주
-01 한·미콩쿨 1위 입상
-01 마드리 실내악단 협연
-01 부천음연 콩쿨 대상
-02 제 13회 음악저널 콩쿨 장려
-03 체코 ‘OTV\’ Symphony Orchestra 협연
-03 Ola viola sound 협연
-04 제15회 세계일보음악콩쿠르 동상
-09 Asian Youth Orchestra 참가
-11 Spirit Of SNU Strings 서울대 현악 앙상블 연주
-10 M4one 챔버 앙상블 정기연주회 참가
-10 서울대학교 실내악 프로젝트 독주
-현재, 서울대학교 음대 졸업,The Yale University master of music(석사) 입학 예정
-사사: 최은식, 김남중

Vc. 이윤하
-05 예원학교졸업
-08 서울예술고등학교졸업
-01 한미콩쿠르1등, 경기음악콩쿠르 대상, 스트라드 콩쿠르 입상
-02 중구청 창립 오케스트라 초청협연
-04 음악춘추1등, 한전아트센터 콩쿠르 입상
-05 국민일보 콩쿠르 입상
-06 음악저널콘서트 초청협연
-07 음악협회콩쿠르 1등
-08,09 대관령국제음악제 참여
-08,09,10 KNUA 첼로앙상블연주
-09 신예음악콩쿠르 전체대상
-10 금호 영 아티스트 독주회, 서울시향 객원합격, 서울시향 정명훈 해외연주 참여
-11 Seiji Ozawa Seito Kinen Music Academy Orchestra Project 연주참가
-현재, 한국예술종합학교 음악원 기악과 졸업
-사사: 정명화, 장형원, 이강호

Fl. 정한솔
-05 예원학교 졸업
-08 서울예술고등학교 졸업
-02 음악저널 콩쿨 1등
-02 음악춘추 콩쿨 1등
-05 한음 음악콩쿠르 1등
-05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콩쿠르 1등
-07 대학밴드협회 2등
-현재, 한국예술종합학교 음악원 관악과 4학년 재학중,과천시립교향악단 재직중
-사사: 이혜경 김동수

Pf. 정다현
-05 예원학교졸업
-08 서울예술고등학교졸업
-04 제 9회 음악춘춘 콩쿨 1위
-04 제 15회 음악저널 전국 학생 음악 콩쿨 1위
-05 The 6th Chopin International Piano Competition in ASIA 1위
-07 제 56회 이화 경향 음악 콩쿨 1위
-09 제 28회 해외파견 음악 콩쿨 3위
-09 전남대학교 <5월의 pianist> 교류 연주
-09 국민대학교 <Piano festival> 교류음악회 연주
-05 International Musik Festival <AIMS> 초청 독주회
-11 Vietnam Honoi Orchestra, Poland String Quartet 협연
-11 The 1st Vietnam Hanoi International Piano Competition 2위
-12 ‘건반위의 멜로디’ 독주회 (세종문화회관 체임버홀)
-현재,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졸업,The Juilliard  School  master of music(석사) 입학 예정
-사사: 강충모, 장형준, 한유경, 허원숙

Pf. 이지영
-05 선화예술중학교 졸업
-08 서울예술고등학교 졸업
-03 한미콩쿠르 3등
-04 한국피아노듀오콩쿠르 2등
-11~12 Actor-Musician Musical <모비딕> 네레이드 역
-현재, 연세대음대 교회음악과 합창지휘전공 졸업
-사사: 윤영화(Pf.), 조익현(Cond.)

Pf. 강지연
-08 서울예술고등학교 졸업
-02 음악교육신문사 음악 콩쿨 2등
-03 서울 음악 콩쿨 1등
-11 서울대학교 SNU Chamber Music Project 참여
-현재, 서울대학교 음대 4학년 재학중
-사사: 민혜성 강현주 손희령

Vo. 이한나
-05 예원학교 성악과 졸업
-08 서울예술고등학교 성악과 졸업
-07 슈베르트 예술가곡 콩쿠르 여자부 1위
-09 제 1회 예다움회가 소리로 그리는 아름다운 풍경 출연
-09 브람스 협회 콩쿠르 입상
-10 제 4회 Internationaler Meisterkurs fur Gesang 이수
-11 코리안 모차르트 오케스트라 콩쿠르 1위
-09~현재까지 한국예술종합학교 성적우수 전액 장학생
-11 제12회 창원 국제교육도시연합 세계총회 성공개최를 위한,UN청소년오케스트라&오페라단기념콘서트 ‘모짜르트씨! -모짜르트씨!’ 파파게나 출연
-11 제10회 통일광장 : 고려대, 영남대, 중앙대 통일 콘서트 초청 연주
-11 제4회 GK포럼 휴먼콘서트 Human Concert (서울시청광장) 연주
-11 GK뮤직콘서트 초청 연주 & GK 나의사랑 코리아 음반 발매
-오페라 <마술피리>, <코지판투테>, <박쥐> 외 다수 출연
-현재, 한국예술종합학교 음악원 성악과 4학년 재학중,명성어린이합창단 성악코치 재직
-사사: 이아경, 최현수

공연개요
컨텐츠 저작권
서울 열린데이터 광장의 오픈API 및 공공데이터포털의 오픈API 서비스를 통해서 구현되었습니다.

사이트 정보

Copyright © Baragi.Net.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