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 > KYDO금난새와 함께하는 농어촌 희망청소년 오케스트라 합동연주회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공연 > KYDO금난새와 함께하는 농어촌 희망청소년 오케스트라 합동연주회

서울시 세종문화회관 공연 및 전시 정보

공연 > KYDO금난새와 함께하는 농어촌 희망청소년 오케스트라 합동연주회

본문

기본정보
공연명KYDO금난새와 함께하는 농어촌 희망청소년 오케스트라 합동연주회
공연시작일2012-08-13
공연종료일2012-08-13
장소세종대극장
시간오후 7:30 (1회 공연)
120분(인터미션 15분)
연령만 7세 이상(초등학생 이상)
문의전화농어촌 희망재단 02-545-8854
티켓정보전석 무료
장르기악
프로그램 정보

프로그램
- 로저스(R. Rodgers) ‘사운드 오브 뮤직’ 메들리(The Sound of Music Medley)
인터미션(Intermission)
-베토벤(L.v. Beethoven) 교향곡 제 5번 ‘운명‘(Sympony No.5)

‘사운드 오브 뮤직‘ 내용 및 특징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 수녀원의 수련 수녀 마리아(줄리 앤드류스)는 어머니를 여읜 일곱 명의 아이들이 살고 있는 폰 트라프 대령의 집에 가정교사로 들어간다. 마리아는 군대식으로 엄격하게 교육받은 아이들에게 아름답고 즐거운 노래를 가르쳐주고 알프스의 아름다운 자연을 느끼게 해줌으로써 아이들의 명랑함을 되찾아준다.

 

그리고 남작부인과 결혼하려던 대령은 마리아에 대한 사랑을 깨닫고 마리아와 결혼을 한다. 그리나 이들 가족이 함께 한 단란한 시간도 잠깐.....2차대전 중 오스트리아 국민으로써 나치에 협력하기를 거부한 트랩프로 인해 가족 9명 모두는 오스트리아의 국민정신을 상징하는 (눈속에서 영원히 피어라)라는 내용의 에델바이스란 노래를 마지막으로 남긴채 오스트리아를 탈출한다

 

 

베토벤 교향곡 5번 ‘운명‘ 내용 및 특징

너무도 유명한 곡, 제 1악장 첫머리의 ‘운명’의 동기는 전교향곡뿐만 아니라 클래식 음악의 상징처럼 여겨지고 있다. 작곡자 자신이 ‘운명은 이렇게 문을 두드린다’고 이 동기를 설명했다고 전해지며, 이후 이 곡이 『운명』 [교향곡]이라는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다. 스케치에서 완성까지 5녕의 세월이 소비되고 그 동안 손질을 거듭한 것으로 생각된다. 연주 시간은 30분이 채 못되어 하이든(오스트리아)이나 모차르트(오스트리아)의 교향곡과는 큰 차이는 없지만, 그 압도적인 내용은 과연 거대한 곡이라는 인상을 준다. 또한 C단조라는 조성은 베토벤(독일)의 성격에 가장 어울린다고 하는데, 반드시 독단이라고는 할 수 없다. 제 3악장 스케르츠는 끊음새 없이 끝악장으로 이어진다. 또 끝악장에서는 그 때까지의 관례를 깨고 피콜로, 콘트라, 파곳, 트롬본이 사용되고 있다.

 

 

출연진 소개

출연진 소개

-  지휘자 금난새

-  농어촌희망 청소년 오케스트라(KYDO)

-  미국한인 음악인후원협회(KAMSA)

-  대학생연합오케스트라(KUCO)

공연개요
  ■ 연주회 취지  한국마사회와 함께하는 농어촌희망재단은 농어촌지역사회의 청소년 음악교육 지원을 통해 지역 문화 예술을 풍요롭게 하고, 오케스트라의 질서·배려, 책임과 의무의 가치를 전파하여 시민의 문화예술 향유 기회를 확대하는 기회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그의 일환으로 2010년 농어촌희망 청소년 오케스트라를 발족하였으며 2011년 4월 금난새 지휘자를 단장으로 한 ‘농어촌희망청소년 오케스트라\’ (Korea Young Dream Orchestra : 이하 ’KYDO‘)가 출범하여 전국 20개 지역의 문화 교실을 지원, 운영하고 있습니다.  금번 개최하는 농어촌희망청소년 오케스트라 합동연주회는 베네수엘라의 엘 시스테마 (EL SISTEMA) 운동과 같이 빈곤층이나 소외계층에게 음악을 통해 꿈과 희망을 키우게 하는 사회운동으로 전개함과 동시에 국민적 꿈과 희망 전달함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더 나아가 합동연주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하여 농어촌희망청소년오케스트라 음악교실의 비전을 전 국민이 공유하는데 그 의미를 두고 있습니다.  
컨텐츠 저작권
서울 열린데이터 광장의 오픈API 및 공공데이터포털의 오픈API 서비스를 통해서 구현되었습니다.

사이트 정보

Copyright © Baragi.Net.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