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 > 서울시국악관현악단 명품국악시리즈 ’예인의 만남’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공연 > 서울시국악관현악단 명품국악시리즈 ’예인의 만남’

서울시 세종문화회관 공연 및 전시 정보

공연 > 서울시국악관현악단 명품국악시리즈 ’예인의 만남’

본문

기본정보
공연명서울시국악관현악단 명품국악시리즈 ’예인의 만남’
공연시작일2012-11-08
공연종료일2012-11-08
장소세종M씨어터
시간오후 7시30분
연령미취학아동입장불가
기획사(재)세종문화회관 서울시국악관현악단
문의전화서울시국악관현악단 02-399-1721
티켓정보R석 30,000원, S석 20,000원
할인정보세종유료회원(프리미엄 30%, 골드 20%)
- 다둥이행복카드, 에코 마일리지, 그린카드, 시티투어버스카드 20%,
- 인터파크 유료회원 15%,
- 초등학생 50%, 중/고/대(대학원생 제외)30%
- 장애인, 국가 유공자, 경로우대 (만 65세 이상) 50%
※ 상기 모든 할인적용시 증빙서류를 지참하지 않을 경우 현장에서 차액을 지불하셔야 합니다.
유료할인율30~20%
장르국악
프로그램 정보 프로그램 순서

 

프로그램

작곡

협연

비고

1

개천부

김기수

남창 이정규

관현악곡

2

최옥산류 가야금 산조

최재륜

가야금 곽재영

 

3

소리로 오는 비

김성경

해금 김현희

 

4

여명

박경훈

아쟁 김상훈

위촉초연

5

이건용

대금 변제남

위촉초연

 

프로그램 소개

1. 개천부 \’開天賦\’

 개천 성절(聖節)을 경축하여 지은 가악이다. 3장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제1장은 황종궁평조(黃鐘宮平調)로 5 ·5 ·3박이고, 제2장은 중려궁평조(仲呂宮平調)의 3 ·3 ·2박, 제3장은 임종궁평조(林鐘宮平調)의 2박이다. 밝고 희망찬 생기가 곡 전반에 넘친다.

작곡/ 김기수
· 이왕직아악부원양성소 대금과
· 1953 국악원 장악과장
· 1962 국립국악원 악사장
· 1973 국립국악원장
· 1977~1983 국립국악중고등학교 교장
· 중요무형문화재 제1호 종묘제례악 예능보유자
· 중요무형문화재 제39호 처용무 예능보유자

협연/ 남창 이정규
·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국악과 및 동 대학원 졸업
· 무형문화재 제30호(가곡) 이수자
· KBS국악관현악단 단원 역임
· 현, 국립국악원 정악단 악장, 한국국악관현악단 예술감독 및 상임지휘자

 

 

2. 최옥삼류 가야금 \’산조\’
 산조의 무게가 잘 살아 있는 깊이 있는 곡으로 진양조의 대범함, 중모리, 중중모리의 담백함과 경쾌함, 자진모리의 스피드와 다이내믹, 말발굽소리로 몰아치며 고조되는 휘모리의 긴장, 산조 전 바탕에서 일관되게 나타나는 에너지로 가득한 박진감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작곡/ 최재륜
· 미국 NEWYORK COLUMBIA UNIVERSITY 교환교수
· 미국 U.C.L.A 교환교수
· 전남대학교 예술대학 국악학과 교수
· 광주국악작곡가회 회장
· 광주국악실내악단 지휘자
· 제 22회 대한민국 작곡상 수상

 

 

3. 소리로 오는 비
  비가 오는 날 / 이따금 손을 내밀어 / 소리로 오는 비를 보다.
  비가 오는 날 / 이따금 얼굴을 들어 / 소리로 오는 비를 담다.
  비가 오는 날 / 이따금 마음을 열어 / 소리로 오는 비를 듣다.

작곡/ 김성경
· 서울대학교 국악과 졸업 및 중앙대학교 음악학석사
· 성균관대학교 철학박사
· 동아음악콩쿠르 국악작곡부문 1위 입상
· KBS국악대상 작곡상 및 대상 수상
· 현) 서울국악관현악단 대표 및 상임지휘자
· 현) 추계예술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수

 

 

4. 위촉초연곡 \’여명(黎明)\’
 산조아쟁과 국악관현악을 위한 협주곡으로 희미하게 날이 밝아오는 빛의 모습을 노래하는 곡이다. 어두웠던 시간들을 모두 보내고, 점차 다가오는 새로운 시간의 희망의 빛을 아쟁의 소리로 표현해 보았다.
 산조아쟁을 위한 협주곡이지만, 산조적인 어법 이외에도 다양한 음악적 어법을 구사해 보고자 했다.
 아름다우면서도 격정적인 느낌의 선율들이 아쟁의 매력적인 음색으로 발산되리라 기대되며, 새로운 시간을 열어줄 소리가 되길 기대한다.

작곡/ 박경훈
· 한양대 국악과 졸업 및 동대학원 수료
· KBS 국악대상 작곡상 (2011)
· 월간 객석 차세대 이끌 10인의 아티스트 선정 (2011)
· 작곡발표회 \’사계\’ (2009), \’Etude for\’ (2011)

 

 

5. 위촉초연 곡 \’풀\’
 ‘풀’ 이라는 제목은 김수영 시인의 풀에서 연유된 것이다. 그의 시 ‘풀’ 에는 풀과 바람이 등장한다. 바람이 불면 풀은 눕는다. 그리고 운다. 그러나 풀은 다시 일어난다. 그리고 웃는다. 바람보다 먼저 일어나고 웃는다.
 슬픔이 있는, 그러나 힘찬 기운의 일어남이 또한 있는 음악을 만들려고 했다. 대금이 곡을 이끌어가지만 전반적인 분위기는 자유로운 환상곡에 가깝다.

작곡/ 이건용(李建鏞 LEE, Geonyong)
· 평남 대동군 생
·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작곡과 및 동 대학원 졸업
· 독일 프랑크푸르트 음악대학 작곡과 졸업
· 효성여자대학교 및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교수 역임
· 한국예술종합학교 총장 역임
· 현 한국예술종합학교 음악원 교수
· 현 세종문화회관 서양음악총괄감독 겸 오페라 단장
· 주요작품 (국악관현악 작품)
  <만수산 드렁칡>  <청산별곡>  <산곡>  <가을을 위한 도드리>

출연진 소개

 

출연진 프로필

가야금 곽재영
· 한양대학교 음악대학 국악과 및 同대학원 졸업
· 한양대학교 국악학과 박사과정 수료
· 2007 서울가야금경연대회 대상 수상
· 가야금 독주회 개최(4회)
· 서울시 국악관현악단 협연(18회), 락음국악단 협연(1회)
· MBC, KBS, WBS, Arirang TV, 국악방송 등 다수출연
· 해외 초청연주(미국, 일본, 러시아, 호주, 대만 등) 및 국내연주 다수
· 재즈피아니스트 \’Bob James\’ concert 연주
· 드라마 ‘다모(茶母)ost - 다음 세상에 우리’ 녹음
· ‘성애순 25현 가야금 독주집’, ‘한양 동문 가야금 연주단’ 등 15여장의 CD음반 제작
· 서울시국악관현악단 가야금 수석
· 전남대학교 강사
· 사)최옥삼류가야금산조보존회 회원
· 사)한국가야금연주가협회 회원
· 한양가야금연주단 회원
· 국악실내악단 ‘풍류’ 회원
· 사사> 김연옥, 장혜숙, 박영미, 송은숙, 김귀자, 민미란, 양연섭, 이재숙, 성애순
· 음반>곽재영 가야금산조

 

대금 변제남
· 국립국악 고등학교 졸업
·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국악과 졸업
· 이화여자 대학교 대학원 음악학과 졸업
· 이화여자 대학교 대학원 음악학부 박사
· KBS국악콩쿠르 대상,1985 KBS 국악관현악단 협연,
· 서울시 국악관현악단 협연, 조선일보 주최 신인음악회
· 여성 실내악단 다스름 회원
· 대금 모임 금마루 정기연주회 "금영"초연
· 이화여자대학교 겸임교수
· 1993 ~ 2011 : 총11회 개인 독주회
· 2011 대금연구회 제11회 정기연주회 "회복"초연
· 음반 <한범수류 대금산조> <변제남의 대금>
· 현 대금 모임 금마루 고문
    이화여자대학교, 전주우석대, 서울교대 강사
    무형문화재 제20호 대금 정악 전수
    대금연구회 이사, 국악교육학회 이사, 한국정악원 이사
    서울시 국악관현악단 수석단원
    사사: 녹성 김성진,김응서, 조창훈, 이상용, 김정수, 홍종진, 신용문

 

아쟁 김상훈
· 전남대학교 졸업
· 한국종합예술학교 전문사 졸업
· 한양대학교 박사과정
· 목원대학교, 한국예술종합학교 출강
· (현) 서울시국악관현악단 아쟁수석 단원
· (현) 락음국악단, 한국음악앙상블 풍류 동인

 

해금 김현희
· 서울대학교 국악과 및 동대학원 졸업
· 서울대학교 음악학 박사과정 수료
· 서울시국악관현악단 해금수석 단원
· 해금연구회 회원
· 하늘의 소리 땅의 소리 회원
· 주요공연
  2011 김현희 해금독주회 <고도의 이면 II> (국립국악원 우면당)
  2009 김현희 해금독주회 <고도의 이면> (민속극장 풍류)
  2008 김현희 해금독주회 <해금풍류> (서울남산국악당)
  2003 김현희 해금독주회 I (영산그레이스홀)
· 독집음반
  2012 김현희 해금 <고도의 이면> 발매 (드림비트)
  2009 <김현희 줄풍류, 산조> 발매 (악당이반)
· 저서
  2012 김현희 해금독주곡집 <고도의 이면> 발간


 

공연개요
 
컨텐츠 저작권
서울 열린데이터 광장의 오픈API 및 공공데이터포털의 오픈API 서비스를 통해서 구현되었습니다.

사이트 정보

Copyright © Baragi.Net.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