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 > 2013년 2월 천원의행복 `풍덩! 춤 세상`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공연 > 2013년 2월 천원의행복 `풍덩! 춤 세상`

서울시 세종문화회관 공연 및 전시 정보

공연 > 2013년 2월 천원의행복 `풍덩! 춤 세상`

본문

기본정보
공연명2013년 2월 천원의행복 `풍덩! 춤 세상`
공연시작일2013-02-20
공연종료일2013-02-21
장소세종대극장
시간오후 7시 30분 (2회 공연)
연령만 7세이상
문의전화02-399-1114
티켓정보전석 1,000원 (1인 2매)
* 공연이 시작된 이후에는 안내원의 유도에 따라서만 입장할 수 있으며, 본인 좌석이 아닌 빈 좌석으로 안내될 수 있습니다.
장르공연기타
프로그램 정보

프로그램

 

○ 오고무
오고무(五鼓舞)는 승무북춤에서 발전된 것으로 5개의 북을 한 사람이 치며 기량을 선보이는 춤으로 장단은 느린 자진모리로 시작하여 휘모리로 발전한다. 가락의 높낮이와 강약, 대삼, 소삼으로 어우러지는 북가락과 춤사위는 북춤 중에서도 다양한 타법과 화려함으로 무용수의 기교가 돋보이는 작품이다.

 

○ 비나리
신을 불러 신의 축복을 요청하는 종교적 성격이 강하며 보통 공연의 시작에 많이 연주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비나리의 초대와 축복의 정신이 모든 관객들에게 행운이 퍼져 나가게 하기를 기대하는 것이다.

 

○ 태평성대
국태민안(國泰民安)을 위한 축원무(祝願舞)로서 궁중의 복식(服食)을 입고 추는 우아하고 화려한 춤이다. 왕과 왕비가 궁중의 높은 곳에 올라가 가뭄으로 인해 피폐해진 궁 밖 백성들의 모습을 보고 느끼는 애절함과 이를 위한 기우제를 묘사한 춤이다. 우아하고 고차원적인 춤사위가 예술성뿐만 아니라 인간의 내면적인 흥(興)을 무속(巫俗)의 다양한 장단에 맞춰 한껏 고조시킨 멋스런 춤이다.

 

○ 학춤
학(鶴)의 탈을 쓰고 추는 궁중무용의 학춤과는 달리 학의 움직임을 형상화하여 선비의 모습으로 표현하였다. 학의 모습이나 노니는 거동보다는 학처럼 우아한 움직임과 고고한 정신을 학의 춤으로 표현한다.

 

○ 부채춤
한국춤의 대명사로 불리는 부채춤은 양손에 꽃부채를 들고 여러 가지 아름다운 모양을 구사하는 군무로 부채를 펴고, 접고, 돌리고, 뿌리면서 아름다운 꽃 모양이나 파도 모양을 표현하는 등 부채의 우아한 선을 잘 살린 춤이다.

 

○ 판굿
두레패가 넓은 마당에서 갖가지 놀이를 순서대로 짜서 기예를 보여주기 위해 벌이는 농악으로 당굿·매굿·지신밟기 등은 의식이지만 판굿은 의식을 떠난 순수 연희다. 놀이의 구성은 먼저 잡이들이 열을 지어서 진풀이를 벌인 뒤 잡이들의 개인 기량을 보이는 개인놀이로 구성된다.


○ 장고춤
장고는 우리민족 고유의 악기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대표적 악기이다. 이번 무대에는 가락 속에 담겨진 흥의 매력과 전통적 형식의 소재와 기법을 가미해 음과 양이 각각 다른 소리를 내며 음의 조화를 담아낸다. 장고를 어깨에 비스듬히 둘러메고 추는 춤으로 요염한 자태의 흥과 멋을 풍기며 여인의 미색을 아름답게 표현했다.

 

○ 허튼춤(덧배기춤)
 부산과 경상남도 일원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대표적인 향토 춤의 하나로 흔히 이 지역 특유의 굿거리장단에 맞추어 추는 춤 모두를 일컫기도 한다. \’덧\’은 거듭·겹· 곱을 뜻하고 \’배기\’는 \’박이다\’는 뜻으로, 덧배기는 겹쳐 백이는 춤 동작으로 풀이된다. 그런 만큼 덧배기춤에서 핵심부분은 배김새사위에 있고 특히 흥겨운 발동작과 얼굴의 표정, 신명나는 춤사위는 덧배기춤의 특성을 고스란히 보여준다.

 

○ 강강술래
‘강강’은 ‘원’을 뜻하며, ‘술래’는 ‘돈다’라는 뜻으로 곧 ‘원으로 돈다’로 풀이되며, 여자들만의 놀이로 손에 손을 맞잡고 ‘강강술래’를 흥겹게 부르며 돌고 도는 춤이다.

출연진 소개

출연자

 

○ 서울시무용단 

`84 LA 올림픽 폐막식`, `90 북경 아시안 게임 예술축전` 등의 국제행사에서 한국을 대표하는 무용단으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하며, ‘WDA 필라델피아 공연’, ‘남미 순화공연’, ‘대만 2000 아,태 문화시장 회의 특별공연’, ‘2002 한일 국민교류의 해 일본 오사카 초청공연’, ‘2003 유럽, 미국 순회공연’, ‘2006, 2007 아시아무대예술제 초청공연’ 등 국제적인 문화예술 축전에 초빙되어 우리 춤의 국제적 위상을 높이고 국제적문화교류에 이바지하고 있다.

 

○ 서울시국악관현악단 

서울시 국악관현악단은 한국 전통음악의 창조적 계승과 새로운 창작음악의 진흥을 위해 노력해 왔으며, 한국 음악계의 발전에 큰 몫을 담당해오고 있습니다. 1965년 한국 최초의  전통음악에 바탕을 둔 현대적인 수많은 창작 관현악곡을 위촉, 발굴하여 창작음악 발전의 토대를 마련하는 한편 국악의 대중화와 현대화를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과 기획공연을 통해 대중들이 우리 음악에 보다 가까워질 수 있도록 하는데 큰 기여를 해왔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 전통타악연구소 

우리장단의 독창성과 우수성을 세계에 널리 알리고, 전통타악을 계승, 발전시키며 우리장단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를 목적으로 1996년에 설립 2004년 서울특별시로부터 전문예술인단체로 지정되었다. 방승환을 중심으로 국악과 무용을 전공하여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교육활동을 통해 제 10회 서울국악대경연에서 장원, 전국농악경연대회 대상을 수상하는 등 가, 무, 악에 대한
기량을 고루 갖추었다. 현재 퓨전콘서트 \’공감21\’ 작품으로 많은 공연활동을 하고 있다.

 


○ 남상일 
 - 민속악회 수리 대표
 - 우리창극연구회 회장
 - 한예종, 원광디지털대학교 출강
 - TV조선 국악락락 진행, KBS 2TV 굿모닝대한민국

 

공연개요
정월대보름 맞이, 신명나는 우리 춤사위 2월 천원의 행복 `풍덩! 춤 세상`     - 고유 명절 ‘정월대보름’을 맞이하는 서울시무용단의 신명나는 우리 춤사위!   - 국악의 정수 서울시국악관현악단과 전통타악연구소의 협연이 한 자리에!    - 2013년 시민의 바람을 담은 ‘솟대 소원지 달기’ 이벤트 진행     공연정보 ■ 정월대보름 맞이, 신명나는 우리 춤사위 `풍덩! 춤 세상`   2월 ‘천원의 행복 <풍덩! 춤 세상>’은 우리 고유의 명절 ‘정월 대보름’을 맞아 신명나는 우리 춤사위를 감상할 수 있는 공연으로 채워진다. 2월 20일(수)과 21일(목) 이틀 간 세종 대극장에서 만날 수 있는 이 공연은 서울시무용단을 중심으로 서울시국악관현악단, 전통타악연구소가 협연하며 소리꾼 남상일이 특별 출연한다. 한국 소리의 새로운 전도사 남상일은 ‘풍덩! 춤 세상’의 사회도 맡게 되는데, 재미있는 해설에 곁들여 관객과 함께 민요도 부르며 무대를 이끌어 갈 예정이다.   ■ 한국을 대표하는 서울시무용단과 서울시국악관현악단, 우리 가무(歌舞)의 진수 선보여!  2월 ‘천원의 행복 <풍덩! 춤 세상>’에서는 서울시무용단이 한국 전통 무용의 진수를 선사한다. 다양한 타법과 화려함으로 무용수의 기교를 뽐낼 수 있는 ‘오고무’로 공연의 문을 열고, ‘비나리’와 ‘태평성대’를 통해 관객들의 흥을 돋움과 동시에 행운의 기운을 전한다. 이어서 ‘학춤’과 ‘부채춤’으로 한국 무용의 화려함을 선보이고, ‘장고춤’과 ‘허튼춤’으로 우리 민족 고유의 가락을 안무로 전달한다. 끝으로 ‘강강술래’로 전출연진이 2013년 새해 희망의 메시지를 전달하며 공연의 대단원을 마무리 한다. 서울시국악관현악단의 음악에 맞추어 서울시무용단의 춤사위를 한 자리에 감상할 수 있는 이번 공연은 우리 가무(歌舞)의 진수를 맛볼 수 있는 흔치 않은 기회가 될 것이다. 우리 전통을 어렵게 느낄 수 있는 관객을 위해 신세대 소리꾼 남상일이 쉽고 재미있는 해설로 관객과 호흡하며 공연에 활력을 불어넣을 예정이다.   ■ 2013년 시민의 바람을 담은 ‘솟대 소원지 달기’ 이벤트 진행  2월 ‘천원의 행복 <풍덩! 춤 세상>’은 정월대보름을 맞아 ‘희망 솟대’를 제작한다. 조각가 김남수가 제작을 맡은 ‘희망 솟대’는 공연당일 대극장 로비에 전시될 예정이다. 공연장을 찾은 관객들은 새해 소원을 쪽지에 적어 솟대에 매달 수 있다. 2월 ‘천원의 행복 <풍덩! 춤 세상>은 풍성한 보름달만큼이나 시민들의 큰 바람을 키우고 희망을 나눌 수 있는 장이 될 예정이다.    
컨텐츠 저작권
서울 열린데이터 광장의 오픈API 및 공공데이터포털의 오픈API 서비스를 통해서 구현되었습니다.

사이트 정보

Copyright © Baragi.Net.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