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 > 스프레이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공연 > 스프레이

서울시 세종문화회관 공연 및 전시 정보

공연 > 스프레이

본문

기본정보
공연명스프레이
공연시작일2023-11-17
공연종료일2023-11-19
장소꿈의숲 퍼포먼스홀
시간금 오후 7시 30분 / 토,일 오후 3시
연령2016년 12월 31일 포함 이전 출생자까지 관람가능
기획사초인
문의전화초인 02.929.6417
티켓정보전석 10,000원
할인정보

[세종 S멤버십 할인]
스타트(1인2매) / 전석10%
스페셜(1인4매) / 전석10%
시그니처(1인6매) / 전석10%

-------------------------------------

- 서울연극협회 정회원 10%
- 만24세 이하 10%
- 고3 수험생 50%

장르연극
포스터
공연개요
는 2018년 서울국제공연예술제 국내 초청작으로 선정된 뒤 박정의 연출에게 을 안겨준 공연으로, 연이어 2019년 영국 에든버러 프린지 페스티벌 에서 작품상과 연출상을 수상하며 완성도와 재미를 검증받은 작품이다. 최첨단의 ‘3D 프로젝션 맵핑영상’을 창의적으로 활용해 해외에서 더 큰 주목을 받은 는 만 7세 이상 관람이 가능하니 2023년 초겨울 가족 단위 문화 나들이로 추천한다. ■ 기획의도 는 맛깔나게 어두우면서도 유혹과 풍자로 가득 찬 연극이다. 백화점 숙녀화 매장의 매니저로 일하는 아주 평범한 남자의 이야기지만 소통 부재, 경쟁 과열의 현대사회를 배경으로 인간의 숨겨진 본성, 유혹과 억압의 주제를 실로 통쾌하게 그려낸 다이내믹한 작품이다. 지루하게 반복되는 일상의 어느 날, 실수로 남의 택배를 열었을 때, 모든 것이 변한다. 도둑질, 시끄러운 옆집 고양이의 불가사의한 죽음, 살인 그리고 옆집 여자의 자살까지. 이 모든 일이 벌어지는 동안 주인공은 도덕적 양심과 도망치고 싶은 회피욕망 사이에 갇힌다. 혁신적으로 디자인된 이동하는 세트, 극도로 잘 연습 된 배우들의 움직임. 마임과 캐리커쳐, 이동하는 세트에 정확하게 맺히는 세련된 영상디자인. 지친 현대 도시민의 삶을 풍자적으로 그려낸 이 작품은 일인 가구가 점점 많아지는 현대사회에서 외로움에 대한 하나의 묵상이다. ■ 줄거리 옆집 고양이 울음소리에 밤새 잠을 설친 709호 남자는 실수로 109호 택배를 집어온다. 남의 택배를 뜯는 순간 짜릿한 쾌감을 느낀 남자는 이후 의도적으로 남의 택배를 집어 오기 시작한다. 옆집 고양이 울음소리와 새벽에 귀가하는 옆집 여자의 소음 때문에 잠 못 이루는 밤은 계속된다. 하지만 남자의 항의는 인터폰 너머 옆집 여자의 무례한 반응으로 번번이 묵살 된다. 지속적으로 택배를 훔치던 어느 날, 드디어 남자는 옆집 택배를 발견한다. 복수심이 발동한 남자는 옆집 여자의 택배를 훔쳐오는데, 택배 상자에 담긴 건 옆집 고양이의 시체!!! ■ 연출의도 경쟁이 열등감을 만들고 열등감은 죄의식을, 죄의식은 불안을, 불안은 분노를, 분노는 관음과 복수를 낳았다. 이웃에서 들려오는 소음, 규칙위반이다. 하지만 번번이 규칙을 어기는 옆집 여자. 이것은 하나의 신호였다. 그러나 신호의 의미를 인지하지 못한 709호 남자는 소음에 복수하기로 한다. 남자가 복수의 칼날을 점점 조여갈 즘 여자의 절규를 듣게 된다. 남자는 처음으로 타인의 아픔에 직면한다. 벽 너머로 들려오는 여인의 울부짖음 앞에서 남자는 위로라는 단어를 떠올린다. 남자가 느낀 건 오랫동안 잊고 살았던 공감이었다! 하지만 남자가 던진 복수의 칼날은 이미 여자의 목을 향해 날아가고 있었다. 막아야 한다. 어떻게든 막아야 한다. 남자는 여자를 구하고 싶었다. 위로하고 싶었다. 그러나 날아가는 칼날은 막지 못하고 엉뚱하게 택배기사를 계단에서 밀어 추락시키고 만다. 며칠 뒤 옆집 여자는 아파트 베란다에서 몸을 던져 죽는다. 하지만 아무도 두 사람의 죽음에 주목하지 않는다. 택배기사의 죽음은 수사도 없이 과로로 인한 실족사로 처리된다. 그리고 이어지는 세상은 아무 일 없다는 듯 조용하다. 남자는 또 다른 죄의식 속으로 침몰한다. 침묵 속으로. 누군가가 혹은 권력자가 혹은 신이 우리에게 죄의식을 느끼게 하였다. 우리는 우리의 죄의식이 만들어낸 거대한 침묵 속에서 진실을 외면한 채 살아가고 있다. 그 속에서 질식하고 있는 우리 도시민들의 모습을 현대적 필체로 다이내믹하게 그려낸 색깔있는 작품이다." border="0" style="width: 950px; height: 6691px; border: 0px solid;">
컨텐츠 저작권
서울 열린데이터 광장의 오픈API 및 공공데이터포털의 오픈API 서비스를 통해서 구현되었습니다.

사이트 정보

Copyright © Baragi.Net.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