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 > 그리스 신화와 별자리이야기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공연 > 그리스 신화와 별자리이야기

서울시 세종문화회관 공연 및 전시 정보

공연 > 그리스 신화와 별자리이야기

본문

기본정보
공연명그리스 신화와 별자리이야기 <별들의 노래>
공연시작일2023-11-30
공연종료일2023-11-30
장소세종체임버홀
시간오후 7시 30분
연령7세 이상 입장가
기획사현대문화
문의전화현대문화 02-2266-1307
티켓정보전석 20,000원
할인정보

[세종 S멤버십 할인]
스타트(1인2매) / 전석 30%
스페셜(1인4매) / 전석 30%
시그니처(1인6매) / 전석 35%

-------------------------------------

- 예술인패스 30% 1매
- 문화누리카드 소지자 50% 2매
- 장애인 1-3급, 국가유공자, 의사자 50% 2매
- 장애인 4-6급, 국가유공자 및 의사자 유족증 50% 1매
- 학생 (초중고대) 50% 1매

장르기악
포스터
공연개요
Art Project III별의 노래들리지 않는 소리가 있다.미술, 문학, 인문학, 과학 그리고 우리네 삶 속에...그 소리를 들리는 소리로 풀어내고자 하는 이들 (Music to Arts)이 모였다.악기를 통해 말하는 이들 (Road Ensemble)과 함께서로 다른 시대, 다양한 화풍의 작품들이 품고 있는 들리지 않는 소리를 소환해 내었다.     소리로 그리는 그림이 누군가의 마음에 닿을 수 있기를 소망하며.... 뮤직투아트 일동 PROGRAM이성애 – 시리우스의 노래(2023) Songs of Sirius(2023)   Vc. 이호찬 김희정 –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해와 달이 된 오누이: 전갈자리’(2023)The Sun and the Moon for Violin and Piano (2023)  Vn. 박재린  p.f. 임보현 강훈  – 현악3중주를 위한 ‘세 개의 별’ (2023)Three Stars for String Trio(2023)  Vn. 박경화  Va. 송민아  Vc. 이호찬Intermission박윤경  – 카시오페이아(2023)          Cassiopeia (2023)   Vn.박경화, cl. 홍성수 백영은  –  클라리넷을 위한 ‘결Ⅻ_목동의 꿈” Gyul Ⅻ for Clarinet (2023) /  Cl. 홍성수 장선순  – 피아노 트리오를 위한 ‘별을 추구하다(2023)Stellar Pursuit for Piano Trio (2023)  Vn. 박재린, Vc. 이호찬, pf. 임보현 작곡가 프로필 / 작품해설 작곡 / 이성애• 단국대 음대 작곡, 버클리음대 재즈 작곡 졸업• 상명대학원 뉴미디어음악학 졸업• 전북대, 한일장신대 출강• 한국뉴미디어아트(KAMA) 협회 부회장, 비하이브(Be Hive) 총괄이사, 티엠필름(TM Film) 음악감독 시리우스의 노래 Songs of Sirius (2023)한해의 마지막과 함께 시작을 알리는 별, 시리우스는 우리나라 겨울철 남쪽 하늘에서 가장 밝게 빛나는 별로 천랑성(天狼星) 이라고도 불려졌다. 밝게 빛나는 시리우스는 동반성인 시리우스B를 가진 쌍성인데, 중력의 부재인 우주라는 공간에서 시리우스별은 서로 강한 중력으로 끌어당김으로 중력의 부재인 우주 가운데 공존한다. 서로 다른 시리우스별은  그 다름이라는 조화가 별자리를 더 밝고 찬란하게 빛나게 비추게 해준다. 이 시리우스의 노래는 프리지안(Phrygian) 선법위에서 그려지고 그들의 이야기는 미지의 도화지 위에 상상력을 통해 우리에게 희망의 이야기로 전해진다. 혹독한 겨울의 깊은 암흑 속에서 찬란하게 빛나는 시리우스를 통해 우리의 인생을 객관화 시키게 된다.   작곡 / 김희정• 가천대학교 음악대학 작곡과 졸업• The University of Calgary, Canada 작곡과 석사졸업• The University of Manchester, UK 작곡과 박사졸업 (Ph.D)• The Polyna Savridi Memorial Foundation Composition Competition 우승• 가천대학교 작곡과 겸임교수, 국민대, 단국대, 상명대, 명지대 강사역임• 현) 린트리오, 로드앙상블 음악감독The Sun and the Moon for Violin and Piano (2023)(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해와 달이 된 오누이: 전갈자리’)전갈자리는 생일 별자리를 뜻하는 황도 12궁 중 가장 보기 힘든 별자리 중 하나로, 남반구에서는 밤하늘에 드리운 낚싯바늘을 닮았다고 해서 낚싯바늘 별자리로 불리기도 한다. S자 모양으로 늘어진 전갈자리 끝부분에서 가장 밝은 별이 전갈의 독침에 해당하는 샤울라(Shaula, 독침)라는 2등성이고 바로 옆에 있는 별이 3등성의 레사쓰(Lesath, 침)이다. 두 별은 우리나라 옛 설화 ‘해와 달이 된 오누이’에 등장하는 오누이로 알려져 있다. 우리 조상들은 전갈자리를 하늘에서 내려온 동아줄로 보았고, 끝에 보이는 두 별 중 밝은 샤울라는 달이 된 오빠, 조금 어두운 레사쓰는 해가 된 동생으로 여긴 것이다. 이 작품에서는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통해 구전되어 내려오던 해와 달의 이야기를 그려보고자 하였다.  작곡 / 강 훈• 단국대학교 작곡과 석사 및 박사 학위 취득• 제4회 아시아 작곡가 연맹 작곡콩쿠르 대상, 제1회 평촌 실내악 작곡 콩쿠르 2위• Asian Music Festival in New Zealand, Taiwan and Philippines. 평창동계올림픽 기념 음악극 ‘월화전’, ‘강릉여행자’, 전통무용극 ‘관노가면극’ 연주• 가톨릭관동대학교, 인천예고, 강남 교육청 출강 및 단국대학교 겸임교수 역임• 현재 (사)한국작곡가협회, (사)ACL-Korea 이사. 운지회, 피아노앙상블 소리 숲, ENSEMBLE KLAmore 회원.현악3중주를 위한 ‘세 개의 별’ Three Stars for String Trio (2023)한 겨울, 밤이 가장 긴 날이라고 하는 동짓날 즈음 밤하늘의 동쪽에는 정삼각형 모양으로 자리 잡고 매우 밝게 빛나는 세 개의 별이 있는데 이 별들은 겨울 밤의 여행자들에게 길잡이 역할을 하며 ‘겨울의 세모’라 불린다. 서양 별자리에서는 이 세 개의 별을 각각 오리온자리의 베텔게우스, 큰개자리의 시리우스, 작은개자리의 프로키온이라고 부르고 우리나라에서는 삼수의 우장군성(베텔게우스), 가장 밝게 보이는 별의 하나인 천랑성(시리우스) 그리고 남하대성(프로키온)으로 부르고 있다. 각각의 별자리가 가지고 있는 별자리의 유래와 전설에 대해 표현하기보다는 차가운 겨울 밤, 밝게 빛나며 길잡이 역할을 세 개의 별을 통해 어두운 밤 함께 빛나며 길을 비춰주는 별빛의 이야기를 만들어 보고자 하였다.     작곡 / 박윤경• 서울대학교 작곡과 및 동 대학원 졸업• 뉴욕 시립대(CUNY) 석사• 뉴저지 주립대(Rutgers University) 박사• 창악회 콩쿨 대상, 미국, 유럽, 일본 등에서 연주• 현재 서울대, 단국대, 명지대, 한양대 출강카시오페이아 Cassiopeia (2023)우리에게 W자 모양으로 잘 알려진 카시오페이아는 북쪽 하늘의 별자리로,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에티오피아의 왕비 카시오페이아를 나타낸다. 그녀는 아름다운 외모를 가졌으나 자만심과 허영심이 강하였으며, 이러한 성격 때문에 파멸에 이르게 되었다. W자는 포세이돈에 의한 처벌로 의자에 앉은 카시오페이아가 거꾸로 매달려 있는 모습이다. 한국에서는 사계절 내내 관측이 가능하며, 특히 가을철에 더 잘 보인다. 2등성 3개와 3등성 2개로 이루어져 있고, 순우리말로는 닻별이라 부른다.카시오페이아가 북쪽하늘의 길잡이 역할을 하듯, W자 모양을 음 모티브로 삼아 곡 전체를 이끄는데 사용하였고, 5개의 별 중 각각 ‘가슴’, ‘손’, ‘무릎’이란 뜻을 가지고 있는 3개의 별을 짧은 악장들로 삼았다. 클라리넷과 바이올린 두 악기의 음색으로, 우주 속 수많은 별들이 탄생하고 소멸하는 과정들을 상상하며 들어주길 바란다.1. 쉐다르(Schedar)2. 카프(Caph). 3. 루크바(Ruchbah).  작곡 / 백영은•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작곡과, 미국 인디애나대학교 대학원 졸업• 작곡가를 위한 타악기 입문 <타악기>, 국악기를 위한 작품집, 타악기를 위한 작품집 출판 및 다수의 작품 출반• (사)한국작곡가협회 이사장, (사)ACL-Korea 이사장, 운지회 회장 역임• 단국대학교 명예교수클라리넷을 위한 ‘결Ⅻ_목동의 꿈” Gyul Ⅻ for Clarinet (2023) 밤, 하늘, 별의 이미지에 목동을 더해본다. 밤하늘의 별에게 이야기를 건네며 외로움을 달래는 목동의 꿈은 어쩌면 어릴 적 나의 꿈과 그리 다르지 않을 것 같다. 그 꿈을 소환하여 인성과 흡사하다고 여겨지는 클라리넷 소리로 풀어 낸다. 작곡 / 장선순• 중앙대 경영학, 단국대 작곡과 졸• 서울대(석사) 졸업 및 동 대학원 박사수료 • 제43회 동아음악콩쿠르 입상, 피아노 듀오콩쿠르 작곡부문 대상 수상• 서울대, 성신여대, 광주교대, 예원예대, 수원여대 등 강사 역임 • 현재 단국대, 총신대 출강, ACL, ISCM회원, 운지회, 한국여성작곡가회, 작곡가협회 이사피아노 트리오를 위한 ‘별을 추구하다’ Stellar Pursuit for Piano Trio (2023)“포세이돈의 아들 거인 사냥꾼. 아르테미스 여신이 쏜 화살에 맞아 죽은 뒤 하늘에 올라 별자리가 된다.”"Stellar Pursuit"는 ’별을 추구하다’, ’별을 따라가다’라는 뜻으로, 오리온 별자리의 아름다움과 신비로움을 탐험하려는 에너지를 음악으로. 첫 부분에서는 천체의 거대함과 생성을 강조하면서 점차 세 악기가 어우러져 공간의 신비로움을 그려내 보려 한다. 음악에 별자리가 미치는 영감과 창조성을 담아, 천체들 사이를 여행하는 듯한 동적인 움직임을 전개로 오리온의 빛나는 별들이 하나로 화려하게 어우러지며, 여전히 생성하는 천체의 이미지를 소리로 마무리해 본다.  연주자 소개로드앙상블  바이올린 박재린• 예원, 서울예고, 연세대 음대 졸업• 독일 쾰른 국립음대 전문연주자과정 및 석사 졸업• 성신여자대학교 음악대학 박사 수료• 서울예대 외래교수, 전북대, 목원대, 숭실대 강사 역임• 현) 상명대, 인천여중, 인천 교육청 산하 청소년 오케스트라 출강, 안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악장, 리움 챔버오케스트라 악장, 리벤토 현악사중주, 앙상블 칸탄도 멤버, 린트리오 리더 바이올린 박경화• 예원학교, 서울예고졸업•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졸업• 독일 프라이부르크 국립음대 석사 및 최고연주자과정졸업• 가천대학교 겸임교수, 경희대학교 강사 역임• 현) 덕원예고 출강, 서울챔버오케스트라, 디토오케스트라 부수석으로 활동 중 비올라 송민아• 서울예고, 연세대학교 졸업• 바로크 콩쿨3위, 가톨릭 콩쿨 2위• 청주시향 비상임역임, 과천시향 객원, 서울아카데미앙상블 객원 역임• 현) KT심포니오케스트라 단원, 소리얼필하모닉 수석, 의왕필부수석, 국제연주자협회(SIA) 멤버 첼로 이호찬•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재입학 및 졸업, 독일 함부르크음대 master과정, 뤼벡음대 konzertexamen, 오스트리아 모짜르테움 postgraduate과정 졸업• 서울 예술의전당 <11시 콘서트>, <토요콘서트>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 양주시립교향악단, 강남심포니오케스트라, 인천시립교향악단 등 협연• 현) 예원, 서울예고, 선화예고, 계원예고 출강. 스테이지원 아티스트, 아더(Ader) 첼로 콰르텟리더, 앙상블 블랭크 the Artist Committee, 책가옥 시리즈 음악감독 클라리넷 홍성수• 한양대학교 관현악과 졸업• Ecole normale musique de paris 최고연주자과정 졸업• Ecole nationale musique creteil 실내악 최고연주자과정 졸업• Ecole nationale musique d’evry 졸업• 현) 전주대객원교수, 강원대, 강릉원주대강사 역임, 린트리오, 서울모던앙상블, 현대음악앙상블’소리’, 안양윈드오케스트라, 아르누보 클라리넷앙상블 악장 피아노 임보현• 독일 쾰른 국립음대 전문연주자과정 졸업• 이탈리아 피렌체 아카데미 전문연주자과정 졸업• 산타 체칠리아 국립아카데미 최고연주자과정 졸업 • 조선일보 신인음악회 데뷔 및 한국 피아노학회 정기연주회 출연• 이탈리아,스페인,독일 등 국제 페스티벌 피아니스트• 현) 한국, 유럽 등 전문 연주자 활동 
컨텐츠 저작권
서울 열린데이터 광장의 오픈API 및 공공데이터포털의 오픈API 서비스를 통해서 구현되었습니다.

사이트 정보

Copyright © Baragi.Net.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