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 서울 , Seoul , 2009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영화 > 서울 , Seoul , 2009

영화정보

서울 , Seoul , 2009

본문

기본정보
영화명(국문)서울
영화명(영문)Seoul
상영시간105분
제작연도2009
개봉(예정)일2010-04-22
제작상태개봉
영화유형장편
제작자오동진
제작국가한국  
장르드라마   멜로/로맨스  
감독윤태용 ( YOON Tae-yong )
감독윤태용
주연박지윤, 이호영
심의번호2010-F151
관람등급12세이상관람가
유해사유주제 및 내용
개요영화속의 영화로 재미 교포인 주인공이 한국으로 관광을 왔다가 한국 청년을 만나 서울의 곳곳을 돌아보다가 사랑에 빠지지만 아쉽게 미국으로 돌아간다는 내용의 이야기
출연배우
박지윤PARK Ji-yoon지혜
이호영LEE Ho-young채만
김은주KIM Eun-ju채만 후배
전수지JEON Su-ji작가
참여 영화사
(주)디앤디미디어D&D Media제작사
(주)삼거리픽쳐스SAMGEORI Pictures Co., Ltd.제작사
(주)스폰지이엔티Sponge Ent. Inc.배급사
(주)스폰지이엔티Sponge Ent. Inc.공동제공
스탭     열기
줄거리
사랑에 빠지게 만드는 마법 같은 도시 | 낯선 그녀와의 짜릿한 로맨스 윤 감독은 서울을 배경으로 하는 청춘 로맨스 영화를 기획 중이다. 서울의 숨겨진 명소를 헌팅하고, 이어 연출부 스텝 구성과 배우 캐스팅까지 순조롭게 마친다. 그러던 어느 날, 촬영을 일주일 남겨놓고 남자배우인 성진은 촬영에서 하차하게 되고, 성진의 대타로 연출부 스텝이었던 채만이 출연을 결정하게 된다. 영화 속 채만과 지혜. 채만은 우연히 길에서 마주친 여행객 지혜를 보고 한 눈에 반하게 된다. 어린 시절해외로 입양되었다는 지혜 역시 다정하고 친절하게 길을 설명해주며 자신과 동행해주는 채만에게 점차 마음을 열게 된다. 한편 지혜는 짧은 여행을 마치고 출국을 앞둬 채만과 아쉬운 작별을 해야 하는데…
이미지, 동영상


네이버 이미지 검색
배우 황정민, 전두환 된다... 영화 '서울의 봄' 11월 개봉
전두환에 황정민…12·12사태 첫 영화 '서울의 봄' 온다
서울의 봄(영화) - 나무위키 서울의 봄(영화)
[E포토] 12.12 군사반란을 다룬 영화 '서울의 봄'의 주역들
서울시, 제19회 서울국제환경영화제 온‧오프라인 병행 73편 영화 상영
네이버 웹문서 검색
2023년11월 22일 개봉한 김성수의 한국 영화. 1979년12월 12일에 발발한 12.12 군사반란을 주요 소재로 한다.
서울의 봄 》(영어: 12.12: THE DAY)은 2023년 11월 22일 개봉한 대한민국의 역사 영화로, 12.12 군사반란을 다루었다. 감독은 김성수이고, 황정민, 정우성 등이 출연하였다. 군사 반란이 일어난 1979년 12월 12일 저녁 7시부터 이튿날 새벽 4시까지의 9시간을, 영화 141분에 담았다. 영화에서는 반란군과 진압...
2023년 개봉한 영화에 대해서는 서울의 봄 (영화)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서울의 봄은 대한민국에서 수많은 민주화 운동이 일어난 1979년 10월 26일~1980년 5월 18일 사이를 일컫는 말이다. 이는 1968년...
문화·스포츠 > 문화 뉴스: 극장가의 비수기 11월에 개봉한 영화서울의 봄’이 12일 자정까지 누적 관객 716만명을 기록한 가운데 인상적인 몇몇 장면이 ...
서울의 봄’ – 1979년 12월 12일, 한 순간의 역사를 그린 감동 작품 영화서울의 봄’은 1979년 12월 12일, 대한민국 역사상 한 순간의 긴장과 팽팽한 대립을 다룬 작품으로, 역사 애호가와 영화 팬들에게 꼭 추천하고 싶은 작품입니다. 이 작품은 그날 밤, 수도 서울에서 펼쳐진 일촉즉발의 9시간을 아름답게 그려내며 군사 반란의 잔잔한 공포와 긴장감을 관객들에게 전달합니다. 황정민, 이성민, 정우성 등 연기력 ...
영화서울의 봄》과 실제 역사와의 비교 및 차이점을 서술한 문서이다.
영화서울의 봄》의 등장인물을 정리한 문서. 실제 인물과 사건을 모티브로 만들었기 때문에 배역의 특징들이 실제 인물과 많이 유사하며 이름도 비슷하게 붙인 경우가 많다.
컨텐츠 저작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오픈API, 영상물등급위원회 오픈API, 네이버 오픈API, TMDB API 서비스를 통해서 구현되었으며,
컨텐츠의 저작권은 각 사이트에 있습니다.

사이트 정보

Copyright © Baragi.Net.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