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 > 경주 석굴암 석굴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문화재 > 경주 석굴암 석굴

문화재 정보

문화재 > 경주 석굴암 석굴

본문

석굴암은 신라 경덕왕 10년(751)에 당시 대상이었던 김대성이 창건을 시작하여 혜공왕 10년(774)에 완성하였으며, 건립 당시에는 석불사라고 불렀다. 경덕왕은 신라 중기의 임금으로 그의 재위기간(742∼765) 동안 신라의 불교예술이 전성기를 이루게 되는데, 석굴암 외에도 불국사, 다보탑, 삼층석탑, 황룡사종 등 많은 문화유산들이 이때 만들어졌다.
토함산 중턱에 백색의 화강암을 이용하여 인위적으로 석굴을 만들고, 내부공간에 본존불인 석가여래불상을 중심으로 그 주위 벽면에 보살상 및 제자상과 역사상, 천왕상 등 총 40구의 불상을 조각했으나 지금은 38구만이 남아있다.
석굴암 석굴의 구조는 입구인 직사각형의 전실(前室)과 원형의 주실(主室)이 복도 역할을 하는 통로로 연결되어 있으며, 360여 개의 넓적한 돌로 원형 주실의 천장을 교묘하게 구축한 건축 기법은 세계에 유례가 없는 뛰어난 기술이다.
석굴암 석굴의 입구에 해당하는 전실에는 좌우로 4구(軀)씩 팔부신장상을 두고 있고, 통로 좌우 입구에는 금강역사상을 조각하였으며, 좁은 통로에는 좌우로 2구씩 동서남북 사방을 수호하는 사천왕상을 조각하였다. 원형의 주실 입구에는 좌우로 8각의 돌기둥을 세우고, 주실 안에는 본존불이 중심에서 약간 뒤쪽에 안치되어 있다. 주실의 벽면에는 입구에서부터 천부상 2구, 보살상 2구, 나한상 10구가 채워지고, 본존불 뒷면 둥근 벽에는 석굴 안에서 가장 정교하게 조각된 십일면관음보살상이 서 있다.
원숙한 조각 기법과 사실적인 표현으로 완벽하게 형상화된 본존불, 얼굴과 온몸이 화려하게 조각된 십일면관음보살상, 용맹스런 인왕상, 위엄있는 모습의 사천왕상, 유연하고 우아한 모습의 각종 보살상, 저마다 개성있는 표현을 하고 있는 나한상 등 이곳에 만들어진 모든 조각품들은 동아시아 불교조각에서 최고의 걸작품으로 손색이 없다. 특히 주실 안에 모시고 있는 본존불의 고요한 모습은 석굴 전체에서 풍기는 은밀한 분위기 속에서 신비로움의 깊이를 더해주고 있다. 지극히 자연스러운 모습의 본존불은 내면에 깊고 숭고한 마음을 간직한 가장 이상적인 모습으로 모든 중생들에게 자비로움이 저절로 전해질 듯 하다.
석굴암 석굴은 신라 불교예술의 전성기에 이룩된 최고 걸작으로 건축, 수리, 기하학, 종교, 예술 등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있어 더욱 돋보인다. 석굴암 석굴은 국보로 지정되어 관리되고 있으며, 석굴암은 1995년 12월 불국사와 함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공동 등재되었다.
한편, 현재 석굴암은 내부 전면 공개 관람 시 항온항습 등의 문제가 우려되어 1976년부터 유리벽을 통한 외부관람을 실시하고 있다.
기본 정보
문화재유형국보
지정호수24
문화재명경주 석굴암 석굴
문화재명2慶州 石窟庵 石窟
문화재분류유적건조물
문화재분류2종교신앙
문화재분류3불교
문화재분류4불전
수량1기
지정(등록일)19621220
소재지 상세경북 경주시 불국로 873-243, 석굴암 (진현동)
시대통일신라시대
소유자석굴암
관리자불국사
관련 이미지 정보
멀리서 바라본 석굴암석굴
석굴암석굴 감실보살상
석굴암석굴 금강역사상(향우)
석굴암석굴 금강역사상(향좌)
석굴암석굴 문수보살상과 제석천상
석굴암석굴 사천와상(향우)
석굴암석굴 십대제자상
석굴암석굴 십일면관음보살상
석굴암석굴 전경
석굴암석굴 천정
석굴암석굴 팔부중상
경주 석굴암 석굴 (본존불 정면)
경주 석굴암 석굴 (본존불 정면) 두번째
경주 석굴암 석굴 (본존불) 상단
경주 석굴암 석굴 (본존불 옆면)
경주 석굴암 석굴 (본존불 뒷면)
경주 석굴암 석굴 (본존불 좌대)
경주 석굴암 석굴 (본존불)
정면에서 바라본 경주 석굴암 석굴
석굴암석굴
경주 석굴암 석굴(감실보살상)
경주 석굴암 석굴(사천왕상)
경주 석굴암 석굴(인왕상)
경주 석굴암 석굴(십일면관음상)
경주 석굴암 석굴(대범천상)
故한석홍 기증 사진자료(석굴암)(본존불1)
故한석홍 기증 사진자료(석굴암)(본존불과 주실 안의 존상들)
故한석홍 기증 사진자료(석굴암)(비도에서 바라본 본존불1)
故한석홍 기증 사진자료(석굴암)(전실에서 본 석굴암 내부 전경)
故한석홍 기증 사진자료(석굴암)(비도에서 바라본 본존불2)
故한석홍 기증 사진자료(석굴암)(본존불3)
故한석홍 기증 사진자료(석굴암)(본존불과 궁륭천장)
故한석홍 기증 사진자료(석굴암)(궁륭천장과 연화천개석)
故한석홍 기증 사진자료(석굴암)(본존불4)
故한석홍 기증 사진자료(석굴암)(십일면관음보살상)
故한석홍 기증 사진자료(석굴암)(십일면관음보살상의 얼굴)
故한석홍 기증 사진자료(석굴암)(십일면관음보살상의 영락장식)
故한석홍 기증 사진자료(석굴암)(제석천상)
故한석홍 기증 사진자료(석굴암)(범천상)
故한석홍 기증 사진자료(석굴암)(보살상1)
故한석홍 기증 사진자료(석굴암)(보살상2)
故한석홍 기증 사진자료(석굴암)(발우를 들고 있는 승려상, 제4상)
故한석홍 기증 사진자료(석굴암)(합장하고 있는 승려상, 제9상)
故한석홍 기증 사진자료(석굴암)(승려상, 제1상)
故한석홍 기증 사진자료(석굴암)(승려상, 제2상)
故한석홍 기증 사진자료(석굴암)(승려상, 제3상)
故한석홍 기증 사진자료(석굴암)(승려상, 제4상)
故한석홍 기증 사진자료(석굴암)(승려상, 제5상)
故한석홍 기증 사진자료(석굴암)(승려상, 제6상)
故한석홍 기증 사진자료(석굴암)(승려상, 제7상)
故한석홍 기증 사진자료(석굴암)(승려상, 제8상)
故한석홍 기증 사진자료(석굴암)(승려상, 제9상)
故한석홍 기증 사진자료(석굴암)(승려상, 제10상)
故한석홍 기증 사진자료(석굴암)(병향로를 들고 있는 승려상, 제10상)
故한석홍 기증 사진자료(석굴암)(병향로를 들고 있는 승려상, 제1상)
故한석홍 기증 사진자료(석굴암)(승려상, 제2상)_2
故한석홍 기증 사진자료(석굴암)(보존불과 감실)
故한석홍 기증 사진자료(석굴암)(제2감실 보살상)
故한석홍 기증 사진자료(석굴암)(제3감실 관세음보살상)
故한석홍 기증 사진자료(석굴암)(제4감실 지장보살상)
故한석홍 기증 사진자료(석굴암)(제5감실 유마거사상)
故한석홍 기증 사진자료(석굴암)(제6감실 문수보살상)
故한석홍 기증 사진자료(석굴암)(제7감실 보살상)
故한석홍 기증 사진자료(석굴암)(제8감실 보살상)
故한석홍 기증 사진자료(석굴암)(제9감실 보살상)
故한석홍 기증 사진자료(석굴암)(금강역사상,좌)
故한석홍 기증 사진자료(석굴암)(팔부중상, 제3상 간달바)
故한석홍 기증 사진자료(석굴암)(팔부중상, 제1상 아수라)
故한석홍 기증 사진자료(석굴암)(팔부중상, 제2상)
故한석홍 기증 사진자료(석굴암)(팔부중상, 제3상 간달바)_2
故한석홍 기증 사진자료(석굴암)(팔부중상, 제4상 용)
故한석홍 기증 사진자료(석굴암)(팔부중상, 제5상)
故한석홍 기증 사진자료(석굴암)(팔부중상, 제6상 야차)
故한석홍 기증 사진자료(석굴암)(팔부중상, 제7상)
故한석홍 기증 사진자료(석굴암)(팔부중상, 제8상)
故한석홍 기증 사진자료(석굴암)(팔부중상, 제1상 아수라)_2
故한석홍 기증 사진자료(석굴암)(금강역사상,좌)_2
故한석홍 기증 사진자료(석굴암)(금강역사상,좌)_3
故한석홍 기증 사진자료(석굴암)(금강역사상,우)
故한석홍 기증 사진자료(석굴암)(사천왕상, 지국천)
故한석홍 기증 사진자료(석굴암)(사천왕상, 좌 증장천, 우 광목천)
故한석홍 기증 사진자료(석굴암)(사천왕상, 좌 다문천, 우 지국천)
故한석홍 기증 사진자료(석굴암)(사천왕상, 다문천 밑의 생령)
故한석홍 기증 사진자료(석굴암)(사천왕상, 다문천)
故한석홍 기증 사진자료(석굴암)(사천왕상, 증장천 밑의 생령)
故한석홍 기증 사진자료(석굴암)(사천왕상, 지국천 밑의 생령)
故한석홍 기증 사진자료(석굴암)(전실 좌측에서 바라본 전경)
故한석홍 기증 사진자료(석굴암)(본존불2)
故한석홍 기증 사진자료(석굴암)(본존불의 얼굴)
컨텐츠 저작권
문화재청 및 공공데이터포털의 Open API 서비스를 통해서 구현되었습니다.

사이트 정보

Copyright © Baragi.Net.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