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 > 파주 용미리 마애이불입상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문화재 > 파주 용미리 마애이불입상

문화재 정보

문화재 > 파주 용미리 마애이불입상

본문

거대한 천연 암벽에 2구의 불상을 우람하게 새겼는데, 머리 위에는 돌갓을 얹어 토속적인 분위기를 느끼게 한다.
자연석을 그대로 이용한 까닭에 신체 비율이 맞지 않아 굉장히 거대한 느낌이 든다. 이런 점에서 불성(佛性)보다는 세속적인 특징이 잘 나타나는 지방화된 불상이다. 왼쪽의 둥근 갓을 쓴 원립불(圓笠佛)은 목이 원통형이고 두손은 가슴앞에서 연꽃을 쥐고 있다. 오른쪽의 4각형 갓을 쓴 방립불(方笠佛)은 합장한 손모양이 다를 뿐 신체조각은 왼쪽 불상과 같다.
지방민의 구전에 의하면, 둥근 갓의 불상은 남상(男像), 모난 갓의 불상은 여상(女像)이라 한다. 고려 선종이 자식이 없어 원신궁주(元信宮主)까지 맞이했지만, 여전히 왕자가 없었다. 이것을 못내 걱정하던 궁주가 어느날 꿈을 꾸었는데, 두 도승(道僧)이 나타나 ‘우리는 장지산(長芝山) 남쪽 기슭에 있는 바위 틈에 사는 사람들이다. 매우 시장하니 먹을 것을 달라’고 하고는 사라져 버렸다. 꿈을 깬 궁주가 하도 이상하여 왕께 아뢰었더니 왕은 곧 사람을 장지산에 보내어 알아 오게 하였는데, 장지산 아래에 큰 바위 둘이 나란히 서 있다고 보고하였다. 왕은 즉시 이 바위에다 두 도승을 새기게 하여 절을 짓고 불공을 드렸는데, 그 해에 왕자인 한산후(漢山候)가 탄생했다는 것이다.
이 불상들은 고려시대의 조각으로 우수한 편은 아니지만, 탄생설화가 있는 점 등을 미루어 볼 때 고려시대 지방화된 불상양식을 연구하는 귀중한 예로 높이 평가된다.
기본 정보
문화재유형보물
지정호수93
문화재명파주 용미리 마애이불입상
문화재명2坡州 龍尾里 磨崖二佛立像
문화재분류유물
문화재분류2불교조각
문화재분류3석조
문화재분류4불상
수량2구
지정(등록일)19630121
소재지 상세경기 파주시 광탄면 용미리 산8, 9번지
시대고려시대
소유자국유
관리자파주시
관련 이미지 정보
파주 용미리 마애이불입상
석불입상 전경
석불입상 상반신 좌측면 향
석불입상 우측(향좌) 상반신
석불입상 좌측(향우) 상반신 우측면 향
석불입상 상반신 배면
파주 용미리 마애이불입상
파주 용미리 마애이불입상
파주 용미리 마애이불입상
파주 용미리 마애이불입상
모난갓의불상
컨텐츠 저작권
문화재청 및 공공데이터포털의 Open API 서비스를 통해서 구현되었습니다.

사이트 정보

Copyright © Baragi.Net.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