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 > 보령 성주사지 중앙 삼층석탑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문화재 > 보령 성주사지 중앙 삼층석탑

문화재 정보

문화재 > 보령 성주사지 중앙 삼층석탑

본문

성주사는『삼국사기』에 나오는 백제 법왕 때 창건한 오합사(烏合寺)가 이 절이었다고 하며, 통일신라 문성왕대에 당나라에서 돌아온 낭혜화상이 이 절의 주지가 되어 번창시키니 왕이 ‘성주사’라는 이름을 내려주었다 한다. 임진왜란 때 불에 타서 현재는 절터만 남아 있다.
성주사의 옛터에서 금당터로 추측되는 건물터 뒷편에 나란히 서있는 3개의 석탑 중에서 가운데에 자리잡고 있는 탑이다.
이 탑은 함께 나란히 서 있는 탑들과 마찬가지로, 상·하 2단의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리고 있다. 기단은 각 층의 4면 마다 모서리와 가운데에 기둥 모양의 조각을 새겨 놓았다. 그 위로는 1층의 탑몸돌을 괴기 위한 돌을 따로 끼워두었다. 탑신부의 1층의 몸돌은 2·3층에 비해 훨씬 커 보이며, 한쪽 모서리가 크게 떨어져 나갔다. 남쪽의 한 면에는 문짝 모양을 조각하였고, 자물쇠 모양을 그 가운데에, 자물쇠 아래로 짐승 얼굴 모양의 문고리 한 쌍을 배치하였으며, 나머지 공간을 못머리 모양의 둥근 조각으로 채웠다. 지붕돌은 몸돌에 비해 넓어 보이며, 밑면에 4단의 받침을 두었고, 네 귀퉁이 끝이 살짝 위로 젖혀져 있는데 그 모습이 가뿐하다.
1층 탑몸돌을 괴는 돌의 형식이라든가, 지붕돌 받침이 4단으로 된 점 등이 통일신라 후기의 모습을 하고 있어 이 때에 만들어진 작품으로 여겨진다. 절터 안에 있는 다른 탑들에 비해 화려함과 경쾌함을 지니고 있으나, 가장 많은 손상을 입어 보는 이로 하여금 안타까움을 자아낸다.
기본 정보
문화재유형보물
지정호수20
문화재명보령 성주사지 중앙 삼층석탑
문화재명2保寧 聖住寺址 中央 三層石塔
문화재분류유적건조물
문화재분류2종교신앙
문화재분류3불교
문화재분류4
수량1기
지정(등록일)19630121
소재지 상세충남 보령시 성주면 성주리 73번지
시대통일신라시대
소유자국유
관리자보령시
관련 이미지 정보
보령 성주사지 중앙 삼층석탑 정면 사진
멀리서 바라본 보령 성주사지 중앙 삼층석탑 정면 사진
멀리서 바라본 보령 성주사지 중앙 삼층석탑
상층기단 갑석 상면의 1층 탑신받침 상세
옥개석 층급받침
1층탑신 문비장식
하층기단 세부
종명
성주사지중앙삼층석탑
성주사지중앙삼층석탑 측면 사진
성주사지중앙삼층석탑 측면 확대 사진
문비
보령 성주사지 중앙 삼층석탑
보령 성주사지 중앙 삼층석탑
보령 성주사지 중앙 삼층석탑
보령 성주사지 중앙 삼층석탑
보령 성주사지 중앙 삼층석탑
보령 성주사지 중앙 삼층석탑
보령 성주사지 중앙 삼층석탑
보령 성주사지 중앙 삼층석탑
보령 성주사지 중앙 삼층석탑
보령 성주사지 중앙 삼층석탑
보령 성주사지 중앙 삼층석탑
보령 성주사지 중앙 삼층석탑
보령 성주사지 중앙 삼층석탑
보령 성주사지 중앙 삼층석탑
보령 성주사지 중앙 삼층석탑
보령 성주사지 중앙 삼층석탑
보령 성주사지 중앙 삼층석탑
보령 성주사지 중앙 삼층석탑
보령 성주사지 중앙 삼층석탑
보령 성주사지 중앙 삼층석탑
보령 성주사지 중앙 삼층석탑
보령 성주사지 중앙 삼층석탑
보령 성주사지 중앙 삼층석탑
보령 성주사지 중앙 삼층석탑
보령 성주사지 중앙 삼층석탑
보령 성주사지 중앙 삼층석탑
보령 성주사지 중앙 삼층석탑
컨텐츠 저작권
문화재청 및 공공데이터포털의 Open API 서비스를 통해서 구현되었습니다.

사이트 정보

Copyright © Baragi.Net.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