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 > 안양 중초사지 당간지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문화재 > 안양 중초사지 당간지주

문화재 정보

문화재 > 안양 중초사지 당간지주

본문

절에 행사가 있을 때 절 입구에 당(幢)이라는 깃발을 달아두는데 이 깃발을 달아두는 장대를 당간(幢竿)이라 하며, 장대를 양쪽에서 지탱해 주는 두 기둥을 당간지주라 한다. 이 당간지주는 양 지주가 원래 모습대로 85㎝ 간격을 두고 동서로 서 있다. 이곳을 중초사터라고 하는 것은 서쪽지주의 바깥쪽에 새겨진 기록에 따른 것이다.
현재 지주의 기단은 남아있지 않고, 다만 지주 사이와 양쪽 지주의 바깥에 하나씩 총 3장을 깔아서 바닥돌로 삼고 있는데, 이 역시도 원래의 모습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기단 위에 당간을 세우는 받침은 지주 사이에 돌을 마련하고 그 중심에 지름 36㎝의 둥그런 구멍을 뚫어서 마련하였다.
양쪽 지주에 장식적인 꾸밈이 없으며, 윗부분을 둥글게 다듬은 흔적이 있어 시대가 오래된 것임을 알 수 있다. 당간을 고정시키기 위한 간구멍을 각각 지주의 상·중·하 세 곳에 뚫었다. 동쪽 지주의 윗부분이 깨어져 있는데, 8·15해방 후 인근의 석수(石手)들이 석재로 반출하기 위한 자취라고 전해진다.
각 부분에 섬세하게 조각을 해두지는 않았어도, 단정한 아름다움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서쪽 지주의 바깥쪽에 새겨진 명문은 모두 6행 123자로 해서체로 쓰여졌다. 이 글에 의하면 신라 흥덕왕 1년(826) 8월 6일에 돌을 골라서 827년 2월 30일에 건립이 끝났음을 알 수 있다. 당간지주에 문자를 새기는 것은 희귀한 예로, 만든 해를 뚜렷하게 알 수 있는 국내에서 유일한 당간지주이다.
기본 정보
문화재유형보물
지정호수4
문화재명안양 중초사지 당간지주
문화재명2安養 中初寺址 幢竿支柱
문화재분류유적건조물
문화재분류2종교신앙
문화재분류3불교
문화재분류4당간
수량1기
지정(등록일)19630121
소재지 상세경기 안양시 만안구 예술공원로103번길 4 (석수동) / (지번)경기 안양시 만안구 석수동 212-1
시대통일신라시대(827)
소유자국유
관리자안양시
관련 이미지 정보
안양 중초사지 당간지주
서편 지주 측면에 새겨진 조성기록
지주 측면의 당간 고정 구멍
양 지주 사이의 당간 꽂이 홈
안양 중초사지 당간지주
안양 중초사지 당간지주 측면 사진
명문
하단부
안양 중초사지 당간지주 정밀실측조사 용역
안양 중초사지 당간지주 정밀실측조사 용역
안양 중초사지 당간지주 정밀실측조사 용역
안양 중초사지 당간지주 정밀실측조사 용역
안양 중초사지 당간지주 정밀실측조사 용역
안양 중초사지 당간지주 정밀실측조사 용역
안양 중초사지 당간지주 정밀실측조사 용역
안양 중초사지 당간지주 정밀실측조사 용역
안양 중초사지 당간지주 정밀실측조사 용역
안양 중초사지 당간지주 정밀실측조사 용역
안양 중초사지 당간지주 정밀실측조사 용역
안양 중초사지 당간지주 정밀실측조사 용역
안양 중초사지 당간지주 정밀실측조사 용역
안양 중초사지 당간지주 정밀실측조사 용역
안양 중초사지 당간지주 정밀실측조사 용역
안양 중초사지 당간지주 정밀실측조사 용역
안양 중초사지 당간지주 정밀실측조사 용역
안양 중초사지 당간지주 정밀실측조사 용역
안양 중초사지 당간지주 정밀실측조사 용역
안양 중초사지 당간지주 정밀실측조사 용역
안양 중초사지 당간지주 정밀실측조사 용역
안양 중초사지 당간지주 정밀실측조사 용역
안양 중초사지 당간지주 정밀실측조사 용역
안양 중초사지 당간지주 정밀실측조사 용역
안양 중초사지 당간지주 정밀실측조사 용역
안양 중초사지 당간지주 정밀실측조사 용역
안양 중초사지 당간지주 정밀실측조사 용역
안양 중초사지 당간지주 정밀실측조사 용역
안양 중초사지 당간지주 정밀실측조사 용역
안양 중초사지 당간지주 정밀실측조사 용역
2016년도 문화유산 디지털세트 3D-기록자원 DB구축 용역
2016년도 문화유산 디지털세트 3D-기록자원 DB구축 용역
2016년도 문화유산 디지털세트 3D-기록자원 DB구축 용역
2016년도 문화유산 디지털세트 3D-기록자원 DB구축 용역
2016년도 문화유산 디지털세트 3D-기록자원 DB구축 용역
2016년도 문화유산 디지털세트 3D-기록자원 DB구축 용역
2016년도 문화유산 디지털세트 3D-기록자원 DB구축 용역
2016년도 문화유산 디지털세트 3D-기록자원 DB구축 용역
2016년도 문화유산 디지털세트 3D-기록자원 DB구축 용역
2016년도 문화유산 디지털세트 3D-기록자원 DB구축 용역
2016년도 문화유산 디지털세트 3D-기록자원 DB구축 용역
2016년도 문화유산 디지털세트 3D-기록자원 DB구축 용역
2016년도 문화유산 디지털세트 3D-기록자원 DB구축 용역
2016년도 문화유산 디지털세트 3D-기록자원 DB구축 용역
2016년도 문화유산 디지털세트 3D-기록자원 DB구축 용역
2016년도 문화유산 디지털세트 3D-기록자원 DB구축 용역
2016년도 문화유산 디지털세트 3D-기록자원 DB구축 용역
2016년도 문화유산 디지털세트 3D-기록자원 DB구축 용역
2016년도 문화유산 디지털세트 3D-기록자원 DB구축 용역
2016년도 문화유산 디지털세트 3D-기록자원 DB구축 용역
2016년도 문화유산 디지털세트 3D-기록자원 DB구축 용역
2016년도 문화유산 디지털세트 3D-기록자원 DB구축 용역
2016년도 문화유산 디지털세트 3D-기록자원 DB구축 용역
2016년도 문화유산 디지털세트 3D-기록자원 DB구축 용역
2016년도 문화유산 디지털세트 3D-기록자원 DB구축 용역
2016년도 문화유산 디지털세트 3D-기록자원 DB구축 용역
2016년도 문화유산 디지털세트 3D-기록자원 DB구축 용역
2016년도 문화유산 디지털세트 3D-기록자원 DB구축 용역
2016년도 문화유산 디지털세트 3D-기록자원 DB구축 용역
2016년도 문화유산 디지털세트 3D-기록자원 DB구축 용역
2016년도 문화유산 디지털세트 3D-기록자원 DB구축 용역
2016년도 문화유산 디지털세트 3D-기록자원 DB구축 용역
2016년도 문화유산 디지털세트 3D-기록자원 DB구축 용역
2016년도 문화유산 디지털세트 3D-기록자원 DB구축 용역
2016년도 문화유산 디지털세트 3D-기록자원 DB구축 용역
2016년도 문화유산 디지털세트 3D-기록자원 DB구축 용역
2016년도 문화유산 디지털세트 3D-기록자원 DB구축 용역
2016년도 문화유산 디지털세트 3D-기록자원 DB구축 용역
2016년도 문화유산 디지털세트 3D-기록자원 DB구축 용역
2016년도 문화유산 디지털세트 3D-기록자원 DB구축 용역
2016년도 문화유산 디지털세트 3D-기록자원 DB구축 용역
2016년도 문화유산 디지털세트 3D-기록자원 DB구축 용역
2016년도 문화유산 디지털세트 3D-기록자원 DB구축 용역
2016년도 문화유산 디지털세트 3D-기록자원 DB구축 용역
2016년도 문화유산 디지털세트 3D-기록자원 DB구축 용역
컨텐츠 저작권
문화재청 및 공공데이터포털의 Open API 서비스를 통해서 구현되었습니다.

사이트 정보

Copyright © Baragi.Net.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