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 > 삼국사기(2018-2)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문화재 > 삼국사기(2018-2)

문화재 정보

문화재 > 삼국사기(2018-2)

본문

『삼국사기』는 김부식(金富軾, 1075∼1151)이 1145년(고려 인종 23년)에 삼국시대의 역사를 기전체(紀傳體)로 편찬한 것이다.『삼국유사(三國遺事)』와 함께 삼국시대 연구의 기본사료로 인식되고 있다. 국보 『삼국사기』는 우리나라 최초의 관찬사서(官撰史書)라는 큰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그 속에 반영된 역사의식의 객관성과 민족자아의식에도 높은 가치를 부여할 수 있는 중요한 사료이다. 1512년까지 증보된 보각판에 기초하여 찍은 인출본으로, 인출 당시의 원형을 거의 그대로 유지하고 있으며 총 9책의 낙장이 없는 완질본이다. 고려와 조선시대의 판각본이 혼재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고려 및 1394년 잔존 목판본의 조성형식과 보존상태 등도 확인할 수 있다.
기본 정보
문화재유형국보
지정호수322-2
문화재명삼국사기(2018-2)
문화재명2三國史記(2018-2)
문화재분류기록유산
문화재분류2전적류
문화재분류3목판본
수량50권 9책
지정(등록일)20180222
소재지 상세서울특별시 중구
시대1512년(중종 7) 추정
소유자조***
관리자조***
관련 이미지 정보
국보 삼국사기
컨텐츠 저작권
문화재청 및 공공데이터포털의 Open API 서비스를 통해서 구현되었습니다.

사이트 정보

Copyright © Baragi.Net.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