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 > 이매창묘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문화재 > 이매창묘

문화재 정보

문화재 > 이매창묘

본문

조선 중기에 부안 현리였던 이양종의 서녀로 태어난 이매창(1573∼1610)의 묘이다. 매창은 그녀의 호이며, 이름은 태어난 해가 계유년이어서 계생, 계랑이라 하였다.
아버지에게서 한문을 배웠으며 시와 글씨가 뛰어나 황진이에 버금가는 명기이자 조선 여류 시인의 한 사람으로 꼽힌다. 또『홍길동전』의 저자인 허균이나 유희경 등의 시인과도 가까웠던 사이로 전해진다.
광해군 2년(1610) 여름 세상을 떠나자 거문고와 함께 묻혔으며 그녀의 대표적인 시 ‘이화우(梨花雨)’는『가곡원류』시조집에 실려 있다. 생애 많은 시를 남겼으나 거의 없어지고, 1668년에 부안의 아전들이 외워 전하던 58편을 얻어 개암사에서 목판으로『매창집』을 만들었다.
부안읍 봉덕리에 위치한 이 묘는 보존상태가 양호하며, 앞에는 비석이 하나 세워져 있다.
기본 정보
문화재유형시도기념물
지정호수65
문화재명이매창묘
문화재명2李梅窓墓
문화재분류유적건조물
문화재분류2무덤
문화재분류3무덤
문화재분류4기타
수량1기
지정(등록일)19830824
소재지 상세전북 부안군 부안읍 서외리 567번지
소유자부***
관리자부***
관련 이미지 정보
이매창묘
이매창묘_묘지 (촬영년도 : 2015년)
이매창묘_비석과 묘지1 (촬영년도 : 2015년)
이매창묘_비석과 묘지2 (촬영년도 : 2015년)
이매창묘_안내판과 묘지 전경 (촬영년도 : 2015년)
이매창묘_전경 (촬영년도 : 2015년)
컨텐츠 저작권
문화재청 및 공공데이터포털의 Open API 서비스를 통해서 구현되었습니다.

사이트 정보

Copyright © Baragi.Net.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