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 > 창녕 영산읍성지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문화재 > 창녕 영산읍성지

문화재 정보

문화재 > 창녕 영산읍성지

본문

읍성이란 군이나 현의 주민을 보호하고, 군사적·행정적인 기능을 함께하는 성을 말한다.
경상남도 창녕군 영산면에 있는 성으로, 원래 흙으로 쌓은 것을 조선시대에 돌로 다시 쌓은 것으로 추정된다. 성을 쌓은 시기는 정확히 알 수 없다.
『창녕읍지』에는 읍성이 둘레가 3,810척(약 1154m), 높이 12척 5촌(약 4m)으로 조선 선조(재위 1573∼1618) 때 쌓았으나 그 후 무너졌다고 기록하고 있다. 지금 남아 있는 성벽은 길이 106m, 높이 2.5m, 폭 1.5m 정도이다. 성은 거대한 돌을 이용하여 기초를 마련하고 그 위에 돌을 정교하게 쌓아올렸다. 지금은 시가지와 경작지로 바뀌어 대부분 붕괴되거나 파괴되었고, 성 안에는 연못이 있었다 하나 메워졌다.
조선시대에는 거의 내륙에 읍성을 쌓지 않았는데 반해 영산면은 고려 말 왜구의 침입이 빈번하였으며, 임진왜란 때 근처의 화왕산성을 중심으로 곽재우(1552∼1617) 장군이 의병을 일으킨 곳이어서 전략적 요충지였음을 알 수 있다.
기본 정보
문화재유형시도기념물
지정호수59
문화재명창녕 영산읍성지
문화재명2昌寧 靈山邑城址
문화재분류유적건조물
문화재분류2정치국방
문화재분류3
문화재분류4성지
수량9,322㎡
지정(등록일)19830806
소재지 상세경남 창녕군 영산면 성내리
소유자창녕군 외
관리자창녕군
관련 이미지 정보
영산읍성지
영산읍성지
컨텐츠 저작권
문화재청 및 공공데이터포털의 Open API 서비스를 통해서 구현되었습니다.

사이트 정보

Copyright © Baragi.Net.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