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 > 양양진전사지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문화재 > 양양진전사지

문화재 정보

문화재 > 양양진전사지

본문

진전사는 우리나라에 선종을 들여온 도의선사가 창건한 절이자 『삼국유사』를 지은 일연스님이 14세 때 출가한 절로 이름나 있다.
도의선사는 당나라의 서당지장(709∼788)에게 공부하고 귀국하여, 당시 교종불교가 절대적이었던 신라 불교에 선종을 소개하였다. ‘중국에 달마가 있었다면 신라에는 도의가 있었다’고 평가를 받는 분으로 도의선사의 법맥은 염거화상과 보조선사로 이어져 한국 불교의 주류를 형성하게 되었다.
이 절이 언제 없어졌는지 알 수 없으나 조선왕조의 폐불정책 때문일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마을에는 절이 없어질 때 스님들이 절터 위에 있는 연못에 범종과 불상을 던져 수장하고 떠났다는 슬픈 전설이 전해져 온다.
발굴조사 결과, 절 이름을 알 수 있는 ‘진전(陳田)’이란 글씨를 새긴 기와조각과 연꽃무늬 수막새기와, 당초무늬 암막새기와, 물고기무늬 기와 조각들이 출토되었다. 현재 삼층석탑(국보)과 석조부도(보물)가 남아있다.
진전사터는 우리나라 불교사에서 중요한 위상을 지닌 유적이며, 신라 불교가 교종에서 선종으로 교체되는 시기에 그 싹을 틔운 곳으로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기본 정보
문화재유형시도기념물
지정호수52
문화재명양양진전사지
문화재명2襄陽陳田寺址
문화재분류유적건조물
문화재분류2종교신앙
문화재분류3불교
문화재분류4사찰
수량27,131㎡
지정(등록일)19821103
소재지 상세강원 양양군 강현면 둔전리 100번지
소유자국가
관리자양양군
관련 이미지 정보
양양진전사지
양양진전사지1 (촬영년도 : 2016년)
양양진전사지_삼층석탑 (촬영년도 : 2016년)
양양진전사지_삼층석탑1 (촬영년도 : 2016년)
컨텐츠 저작권
문화재청 및 공공데이터포털의 Open API 서비스를 통해서 구현되었습니다.

사이트 정보

Copyright © Baragi.Net.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