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천박물관(부산) > 무장애여행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무장애여행

복천박물관(부산)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이름으로 검색 (52.♡.240.171)
댓글 0건 조회 101회 작성일 24-01-04 20:06

본문

{"response": {"header":{"resultCode":"0000","resultMsg":"OK"},"body": {"items": {"item":[{"contentid":"130145","contenttypeid":"14","title":"복천박물관(부산)","createdtime":"20071106104414","modifiedtime":"20231030181851","tel":"","telname":"","homepage":"\u003ca href\u003d\"https://museum.busan.go.kr/bokcheon/index\" target\u003d\"_blank\" title\u003d\"새창 : 홈페이지로 이동\"\u003ehttps://museum.busan.go.kr\u003c/a\u003e","booktour":"0","firstimage":"http://tong.visitkorea.or.kr/cms/resource/59/1205059_image2_1.jpg","firstimage2":"http://tong.visitkorea.or.kr/cms/resource/59/1205059_image3_1.jpg","cpyrhtDivCd":"Type3","areacode":"6","sigungucode":"6","cat1":"A02","cat2":"A0206","cat3":"A02060100","addr1":"부산광역시 동래구 복천로 63","addr2":"(복천동)","zipcode":"47800","mapx":"129.0911042192","mapy":"35.2088924921","mlevel":"6","overview":"복천박물관은 복천동고분군에서 출토된 유물을 중심으로, 삼한시대부터 삼국시대까지의 부산지역의 역사를 보여주는 고고 전문박물관이다. 1996년 10월 5일에 개관했다.\n복천동고분군에서 7차에 걸친 발굴 조사로 밝혀진 덧널무덤(목곽묘), 구덩식돌덧널무덤(수혈식석곽묘),  앞트기식돌방무덤(황구식석실묘), 독널무덤(옹관묘)등 총 200여기의 무덤이 확인되었고, 여기서 다양한 형태의 가야토기, 철제무기류, 갑옷, 투구, 가지방울, 금동관, 목걸이 등 12,000여 점의 유물들이 출토되었으며, 박물관에는 출토된 유물을 종합전시하고 있다. 사적 제273호로 지정된 복천동고분군에서 출토된 유물과 다양한 무덤 양식들은 아직 미지의 왕국으로 남아있는 가야의 신비를 푸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n복천박물관은 개관 이후 인근지역의 매장문화재에 대한 조사와 연구를 수행하며, 부산의 역사와 문화, 나아가 가야사의 실체를 규명해 나가고 있으며, 지속해서 축적된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학술 세미나 및 특별전을 통해 전문가와 시민들에게 제공함으로써 역사교육장으로서의 역할도 담당하고 있다."}]},"numOfRows":1,"pageNo":1,"totalCount":1}}}
추천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1건 27 페이지

검색


사이트 정보

Copyright © Baragi.Net.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