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선재 > 무장애여행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무장애여행

낙선재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이름으로 검색 (23.♡.35.162)
댓글 0건 조회 102회 작성일 23-12-10 10:31

본문

{"response": {"header":{"resultCode":"0000","resultMsg":"OK"},"body": {"items": {"item":[{"contentid":"1604941","contenttypeid":"12","title":"낙선재","createdtime":"20120418010644","modifiedtime":"20231102132424","tel":"","telname":"","homepage":"\u003ca href\u003d\"https://tour.jongno.go.kr/tourMain.do\" target\u003d\"_blank\" title\u003d\"종로 문화관광 사이트로 이동\"\u003ehttps://tour.jongno.go.kr/tourMain.do\u003c/a\u003e","booktour":"0","firstimage":"http://tong.visitkorea.or.kr/cms/resource/93/1568293_image2_1.jpg","firstimage2":"http://tong.visitkorea.or.kr/cms/resource/93/1568293_image3_1.jpg","cpyrhtDivCd":"Type3","areacode":"1","sigungucode":"23","cat1":"A02","cat2":"A0201","cat3":"A02010100","addr1":"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99","addr2":"(와룡동)","zipcode":"03072","mapx":"126.9935443080","mapy":"37.5786003366","mlevel":"6","overview":"낙선재는 본래 창경궁에 속해 있던 건물이었으나 근래에 창덕궁에 속한 것으로 취급하게 되었다. 이 건물은 헌종 12년(1846)에 건립한 것으로 본 건물에 접속된 석복헌(錫福軒)과 수강재(壽康齋) 등 3개의 건물을 총칭하여 낙선재(樂善齋)라 부르고 있다.  정문은 장락당(長樂堂)으로 낙선재 남행각(南行閣) 12칸에 설치되었다. 이 문을 들어서면 넓은 마당 뒤로 낙선재가 있다. 정면 6칸 중 우측 한 칸이 전면으로 돌출되어 누마루가 되었고 몸채는 장대석 기단 위에 방형(方形) 초석과 기둥을 한 일반적인 주택풍으로 세워졌다.  누마루의 아래 분구(焚口) 있는 주변은 불규칙한 선의 모자이크 장식이 독특하며 주간의 문짝의 무늬가 다양하다. 집 뒤로는 큰 석재로 쌓아 만든 화계(花階)가 있고 굴뚝과 각 단의 꽃나무, 괴석들이 조화를 이루고 있어 조원(造園)이 뛰어나다. 낙선재에 연접한 석복헌은 역시 정면 6칸, 측면 2칸으로 안사랑에 해당하는 건물이다. 3급 장대석 기단에 계단이 둘 설치되어 있다. 사다리꼴 초석 위에 방주가 섰다. 전면의 주간에는 세장(細長)한 장지문이 달렸는데 그중 중앙 1칸은 머름을 하여 낮고 문살 모양도 다른 문과 다르다. 건물 주위로 행각이 둘렸으며 밖으로 외행각(外行閣)이 나 있고 이것이 수강재에 이어진다. 수강재는 15칸 규모이며 5량 가구(架構)의 홑처마 단층기와지붕을 한 건물이다."}]},"numOfRows":1,"pageNo":1,"totalCount":1}}}
추천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1건 25 페이지

검색


사이트 정보

Copyright © Baragi.Net.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