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안항일운동기념관 > 무장애여행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무장애여행

소안항일운동기념관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이름으로 검색 (23.♡.35.162)
댓글 0건 조회 81회 작성일 23-12-28 19:32

본문

{"response": {"header":{"resultCode":"0000","resultMsg":"OK"},"body": {"items": {"item":[{"contentid":"799885","contenttypeid":"14","title":"소안항일운동기념관","createdtime":"20090909000021","modifiedtime":"20231031173418","tel":"","telname":"","homepage":"\u003ca href\u003d\"https://www.soan0516.com/index.php?\" target\u003d\"_blank\" title\u003d\"새창 : 홈페이지로 이동\"\u003ehttps://www.soan0516.com\u003c/a\u003e","booktour":"0","firstimage":"","firstimage2":"","cpyrhtDivCd":"","areacode":"38","sigungucode":"18","cat1":"A02","cat2":"A0206","cat3":"A02060200","addr1":"전라남도 완도군 소안면 소안로 263","addr2":"","zipcode":"59165","mapx":"126.6528991895","mapy":"34.1671138062","mlevel":"6","overview":"2003년 10월 20일에 문을 연 소안항일운동기념관은 조국의 독립과 광복을 위해 목숨을 바쳤던 소안의 애국선열들과 그들의 항일투쟁 정신을 역사의 교훈으로 남겨주기 위하여 건립한 현충시설이다. \n갑오년 동학혁명이 일어나자 동학의 접주 나성대가 동학군을 이끌고 소안도로 들어와 군사훈련을 시켰다. 혁명 실패 후 이순보, 이강락 등 몇몇 주민들이 관군에게 총살당했다. 그후, 동학군과 도피했던 이준화는 의병들을 이끌고 소안도 인근 당사도 등대를 습격해 일본인 간수들을 처단했다. 일제통치로 전국이 탄압받던 암흑기에 항일구국의 횃불이 드높았던 소안도는 독립을 위한 군자금을 모금하고 농민운동을 전개하는 한편, 사립소안학교를 만들어 후학을 지도하였다. 소안도는 함경도의 북청과 함께 구국의 횃불을 높이 든 우리나라 독립운동의 성지이다. \n암울했던 일제 강점기 조국의 독립을 위해 많은 선열들이 피를 흘렸으며 이들의 높은 뜻을 기리기 위해 소안면민들이 힘을 모아 소안면 비자리에 항일 독립운동 기념관과 독립운동 기념탑을 세웠다."}]},"numOfRows":1,"pageNo":1,"totalCount":1}}}
추천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1건 17 페이지

검색


사이트 정보

Copyright © Baragi.Net.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