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덕궁 인정문 > 무장애여행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무장애여행

창덕궁 인정문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이름으로 검색 (52.♡.240.171)
댓글 0건 조회 35회 작성일 24-01-04 20:41

본문

{"response": {"header":{"resultCode":"0000","resultMsg":"OK"},"body": {"items": {"item":[{"contentid":"1604953","contenttypeid":"12","title":"창덕궁 인정문","createdtime":"20120418011934","modifiedtime":"20231205162431","tel":"","telname":"","homepage":"\u003ca href\u003d\"http://tour.jongno.go.kr/\n\" target\u003d\"_blank\" title\u003d\"새창 : 종로 문화관광 홈페이지로 이동\"\u003ehttp://tour.jongno.go.kr/\n\u003c/a\u003e\u003cbr /\u003e\n\u003ca href\u003d\"http://www.cdg.go.kr/\n\" target\u003d\"_blank\" title\u003d\"새창 : 창덕궁 홈페이지로 이동\"\u003ehttp://www.cdg.go.kr/\u003c/a\u003e","booktour":"0","firstimage":"http://tong.visitkorea.or.kr/cms/resource/01/1568301_image2_1.jpg","firstimage2":"http://tong.visitkorea.or.kr/cms/resource/01/1568301_image3_1.jpg","cpyrhtDivCd":"Type3","areacode":"1","sigungucode":"23","cat1":"A02","cat2":"A0201","cat3":"A02010300","addr1":"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99","addr2":"","zipcode":"03072","mapx":"126.9911806294","mapy":"37.5787974932","mlevel":"6","overview":"인정문은 인정전의 정문으로 태종 5년(1405) 창건한 것이나 임진왜란 때 소실되어 광해군 원년(1608) 재건하였다. 영조 20년(1744) 10월 승정원 화재 때 좌우 행각과 함께 소실되어 이듬해 3월에 재건하였다. 순조 3년(1803) 12월에 선정전 서행각에서 화재가 나 인정전 등이 소실되매 이듬해 12월에 재건하였는데 이 문도 그때 재건된 것으로 여겨진다. 다포계양식, 팔작지붕의 평삼문형으로 가구수범에서 조선후기의 특징이 나타나 있다. 1910년에 일제에 의해 주위건물과 함께 일부변형 되었다. 현재 외벽을 만들고 앞뒤에 문을 달았으나 원래는 중앙 고주사이에 문을 달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3급으로 쌓은 석조기단 위에 초석을 놓고 원주(圓柱)를 세웠으며 기둥 윗몸에 창방(昌枋)과 평방(平枋)을 짜 돌려 공포(慊包)를 받았다. 공포는 외2출목, 내2출목, 짜임은 삼제공이 중첩하는 형상이고 도리받침부재는 운형(雲形)으로 깎았다. 외부의 평방과 창방은 중앙 평주(平柱) 위에서만 초각물(草刻物)을 삽입하여 놓았으며 내부는 이제공(二提慊)까지는 직절(直絶)한 첨차 끝이 되었으며 그 위는 운궁(雲宮)처럼 되어 도리까지 나가 보 아래에서 보아지가 되었다. 천장은 연등천장이고 처마는 겹처마이며 단청은 반초머리의 모루단청이다. 인정문 좌우 행각과 인정전의 문비(門扉)는 일제 때에 왜식(倭式)이 가미되어 변형된 부분이 많다. 인정문에서는 역대의 많은 왕들의 즉위가 있었는데 효종 · 현종 · 숙종 · 영조 등이 이곳에서 즉위하였다."}]},"numOfRows":1,"pageNo":1,"totalCount":1}}}
추천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1건 14 페이지

검색


사이트 정보

Copyright © Baragi.Net.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