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 > 강릉 신복사지 석조보살좌상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뒤로가기 문화재 > 강릉 신복사지 석조보살좌상

문화재 정보

문화재 > 강릉 신복사지 석조보살좌상

본문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에 있는 신복사는 통일신라 문성왕 12년(850년)에 범일국사가 처음 세웠다. 강릉 신복사지 삼층석탑(보물)을 향하여 공양하고 있는 모습의 보살상을 표현하였는데, 왼쪽 다리를 세우고 오른쪽 다리를 꿇어 앉은 자세를 하고 있으며 두 손은 가슴에 모아 무엇인가를 잡고 있는 모습이다.
원통형의 높다란 관(冠)을 쓰고 있는 얼굴은 풍만한데다가 만면에 웃음을 띠고 있어 복스럽게 보인다. 관 밑으로 드러난 머리카락은 어깨너머로 길게 늘어져 있으며, 양 어깨에서부터 걸쳐 내져진 옷자락은 몸의 굴곡을 따라 자연스럽게 표현되어 보살상의 사실성을 더해준다. 팔찌, 목걸이, 옷주름은 굵은 띠처럼 묘사되었으며 전체적으로 둥글고 둔중한 조각수법을 보인다. 이러한 자세나 조각 솜씨는 평창 월정사 팔각 구층석탑(국보)앞의 공양보살상과 유사한 것으로 같은 지방 계열의 특징으로 여겨진다.
보살이 앉아있는 대좌(臺座)는 윗면을 둥글게 하여 보살이 들어앉을 수 있도록 하였으며, 바깥쪽에는 큼직큼직하게 2겹의 연꽃잎을 조각하였다.
규칙적인 간격의 옷주름과 단순해진 장신구, 대좌의 조각수법 등에서 화려한 신라적 요소가 사라지고 고려 초기의 둔화된 표현 양식이 나타나고 있다.
기본 정보
문화재유형보물
지정호수84
문화재명강릉 신복사지 석조보살좌상
문화재명2江陵 神福寺址 石造菩薩坐像
문화재분류유물
문화재분류2불교조각
문화재분류3석조
문화재분류4불상
수량1구
지정(등록일)19630121
소재지 상세강원 강릉시 내곡동 403-2번지
시대고려시대
소유자국유
관리자강릉시
관련 이미지 정보
강릉 신복사지 석조보살좌상(촬영:문화재청)
강릉 신복사지 석조보살좌상(촬영:문화재청)
강릉 신복사지 석조보살좌상(촬영:문화재청)
강릉 신복사지 석조보살좌상(촬영:문화재청)
강릉 신복사지 석조보살좌상(촬영:문화재청)
강릉 신복사지 석조보살좌상(촬영:문화재청)
강릉 신복사지 석조보살좌상(촬영:문화재청)
강릉 신복사지 석조보살좌상
머리부분
관부분
상반신
배면(어깨와 허리 부분)
석조보살좌상 배면(엉덩이 부분과 연화 대좌)
강릉 신복사지 석조보살좌상
강릉 신복사지 석조보살좌상
표정
컨텐츠 저작권
문화재청 및 공공데이터포털의 Open API 서비스를 통해서 구현되었습니다.
Copyright © Baragi.Net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