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 > 옛 보신각 동종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뒤로가기 문화재 > 옛 보신각 동종

문화재 정보

문화재 > 옛 보신각 동종

본문

조선시대 만들어진 종으로, 1985년까지 서울 종로 보신각에서 제야(除夜)의 종을 칠 때 사용되었다.
조선 세조 14년(1468) 만들어 신덕왕후정릉 안에 있는 정릉사에 있었으나, 그 절이 없어지면서 원각사로 옮겨졌고 임진왜란 이후 종루에 보관했다. 고종 32년(1895) 종루에 보신각이라는 현판을 걸게 되면서 보신각종이라고 불렀다. 현재는 국립중앙박물관 경내에서 보관 중이다.
총 높이 3.18m, 입 지름 2.28m, 무게 19.66톤의 큰 종이며, 전형적인 조선 초기의 종 형태를 하고 있다. 음통이 없고 2마리 용이 종의 고리 역할을 하고 있다. 어깨부분에서 중간까지 완만한 곡선을 이루다가 중간 지점부터 입구 부분까지 직선으로 되어 있다. 몸통에는 3줄의 굵은 띠를, 종 입구 위로는 일정한 간격으로 2줄의 띠를 두르고 있고, 종의 연대를 알 수 있는 긴 문장의 글이 있다. 특히 종신 몸체 상면에는 보살입상이 새겨졌던 흔적을 볼 수 있어 사찰의 종을 옮긴 후 인위적으로 이 부분을 삭제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 종은 2번의 화재를 겪으면서 원형에 손상을 입고, 음향도 다소 변했으나 명문(銘文)이 남아있어 주조 연대를 확실히 알 수 있는 귀중한 조선시대 왕실 발원 종의 자료이다.
기본 정보
문화재유형보물
지정호수2
문화재명옛 보신각 동종
문화재명2옛 普信閣 銅鍾
문화재분류유물
문화재분류2불교공예
문화재분류3의식법구
문화재분류4의식법구
수량1구
지정(등록일)19630121
소재지 상세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시대조선 세조 14년(1468)
소유자국유
관리자국립중앙박물관
관련 이미지 정보
옛 보신각 동종 측면 사진
옛 보신각 동종
컨텐츠 저작권
문화재청 및 공공데이터포털의 Open API 서비스를 통해서 구현되었습니다.
Copyright © Baragi.Net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