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효종영릉재실 > 무장애여행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뒤로가기 무장애여행

조선효종영릉재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이름으로 검색 (40.♡.167.64) 작성일 23-12-31 18:59 조회 92 댓글 0

본문

{"response": {"header":{"resultCode":"0000","resultMsg":"OK"},"body": {"items": {"item":[{"contentid":"793508","contenttypeid":"12","title":"조선효종영릉재실","createdtime":"20090904021247","modifiedtime":"20231018152822","tel":"","telname":"","homepage":"\u003ca href\u003d\"http://sejong.cha.go.kr/\" target\u003d\"_blank\" title\u003d\"문화재청 세종대왕 유적관리소 사이트로 이동\"\u003ehttp://sejong.cha.go.kr\u003c/a\u003e","booktour":"0","firstimage":"http://tong.visitkorea.or.kr/cms/resource/83/2482783_image2_1.jpg","firstimage2":"http://tong.visitkorea.or.kr/cms/resource/83/2482783_image2_1.jpg","cpyrhtDivCd":"Type3","areacode":"31","sigungucode":"20","cat1":"A02","cat2":"A0201","cat3":"A02010700","addr1":"경기도 여주시 능서면","addr2":"","zipcode":"12642","mapx":"127.6087043564","mapy":"37.3137116484","mlevel":"6","overview":"영릉(寧陵)은 조선 제17대 효종대왕(1619~1659, 재위 1649~1659)과 인선왕후 장씨의 능이며, 재실(齋室)은 제관(祭官)의 휴식, 제수장만 및 제기 보관 등의 제사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능의 부속건물이다. 효종대왕릉은 1659년 경기도 양주군 건원릉(현 경기도 구리시 동구릉)의 서쪽에 조성하고, 능호를 익릉(翼陵)이라 하였으며, 그 앞에 재실을 건립하였다. 이후 1763년 석물에 틈이 생겨 현 위치로 옮겨오면서 능호를 영릉으로 고치고 재실도 함께 옮겨왔다.\u003cbr /\u003e\u003cbr /\u003e* 조선효종영릉재실의 구조와 역사적 의의 *\u003cbr /\u003e\u003cbr /\u003e일반적인 조선시대 재실은 재방, 안향청, 제기고, 전사청, 행랑채(대문 포함), 우물 등으로 구성된다. 하지만 현재 남아있는 조선 왕릉의 재실은 일제강점기와 6·25전쟁을 거치면서 대부분 멸실되어 원형이 훼손되었다. 그러나 이곳 영릉 재실은 조선 왕릉 재실의 기본형태가 가장 잘 남아있고, 공간 구성과 배치가 잘 되어 있다. 또한 경내의 재향과 관계있는 향나무와 느티나무, 회양목(천연기념물 제459호) 등의 고목도 함께 어우러져 적절한 조화를 이루고 있다. 공간구성과 배치가 뛰어나 대표적인 조선시대 재실건축으로 학술적·역사적 가치가 높이 평가된다.\u003cbr /\u003e\u003cbr /\u003e[문화재 정보]\u003cbr /\u003e지정번호 : 보물\u003cbr /\u003e지정 연도 : 2007년 11월 29일\u003cbr /\u003e시대 : 조선시대\u003cbr /\u003e종류 : 가옥\u003cbr\u003e"}]},"numOfRows":1,"pageNo":1,"totalCount":1}}}
추천0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1건 20 페이지
게시물 검색
Copyright © Baragi.Net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