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 > 김진승 바이올린 독주회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공연 > 김진승 바이올린 독주회

서울시 세종문화회관 공연 및 전시 정보

공연 > 김진승 바이올린 독주회

본문

기본정보
공연명김진승 바이올린 독주회
공연시작일2024-07-15
공연종료일2024-07-15
장소세종체임버홀
시간오후 7시 30분
연령초등학생 이상
기획사지클레프
문의전화02-515-5123
티켓정보전석 20,000원
할인정보

[세종 S멤버십 할인]
스타트(1인2매) / 전석15%
스페셜(1인4매) / 전석20%
시그니처(1인6매) / 전석30%

장르기악
포스터
공연개요
PROFILEViolinist 김진승김진승은 예원, 서울예고, 서울대학, 미국 예일대학에서 공부했고 그간에 살펴온 내면과 음악을 통해 사람과 조우해왔다. 조선일보, 한국일보 콩쿠르 입상, 부산콩쿠르 1위 및 문예진흥원장상 등 여러 상을 받았고, 여러 단체와 협연했고, 여러 번의 독주회를 개최하였으며 다양한 오케스트라 악장으로 활동해왔는데 그 무대 하나하나가 김진승의 사유, 성장, 진화의 단면도라 할 수 있다. 이렇게 단면이 모여 지층을 이룬 서사에는 또 다른 지층 하나가 발견되는데, 그 층리의 본질은 그의 내면에 담긴 예술적 포용성이다. 김진승의 포용력은 전통과 새 것 사이 은신해 있을 법한 어떤 경계도 거부한다. 베토벤을 사랑하면서 ‘공감-20세기 클래식(EBS)’에서는 재즈를 흠모한다. 큰 무대 오케스트라에 몰두하면서 작은 무대에도 열정을 쏟는다. 진지한 실내악의 아카데미에 공감하면서 대중 인문학 콘서트에 자주 모습을 보이고, 사회학 책의 음반 연주가로 가담하는 등 예술적, 사회적 감수성 모두를 균형있게 갖춘 연주자이다. 김진승의 활 끝에서 빚어나는 소리가 타협없는 예리함을 동반하지만 그 음악에 온기가 사라지지 않는 이유가 있다면, 아마도 그것은 그의 음악에 소리와 사람의 체온이 마주 서 공감하고 있기 때문이다. Composer 유주환연세대학교를 졸업하고 미국 플로리다 주립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난파음악상, 연세문화상, 우경문화상, 한민족음악상, 중앙일보콩쿠르, 폴란드 모자이코음악제, 영국 맨체스타음악제, 민국 엡스작곡상을 수상했다. 개인발표회를 포함해 그동안 서울시향의 컴포저프리즘, 화음앙상블,, 프라임필하모니의 작곡가로 활동하였으며 EBS와 OUN의 다큐멘터리 『우리시대의 작곡가』에 그의 작품 세계가 소개되기도 했다. 저서로 『퀵서비스 관현악법』과 『모멸감』이 있다. 현재 코뮤니타스앙상블의 음악감독, 미국 오이코스 대학의 음악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Violin 김선호현재 미국 캔사스시티 심포니 오케스트라의 부악장으로 활동하고 있는 바이올리니스트 김선호는 오케스트라뿐만 아니라 실내악과 독주에도 열정을 가진 다양한 색깔의 연주자이다. 그는 에스토니아 국립 오케스트라, 캔사스시티 심포니, 런던 코리아 심포니, 서울시향, 서울 심포니와 협연하였고 런던, 로마, 에버딘에서 서울 유스 챔버 오케스트라와 협연 무대를 가졌다. 상하이 국제 예술제 초청 연주 및 베를린 필하모니 실내악 홀, 카네기 홀에서 연주한 바 있으며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데뷔 독주회 후 유력 일간지 Berlingske Tidende로부터 “진정한 예술가임을 증명... 시적이며 놀라운 해석”이라는 찬사를 받았다.베일즈 바이올린 콩쿨, 하이노 앨러 국제 바이올린 콩쿨과 덴마크 왕립 음악원 장학금 콩쿨에서 모두 1위에 입상한 그녀는 그 외 조선일보, 서울 청소년 실내악 콩쿨, 선화콩쿨에서 입상한 경력의 소유자이며 베를린 예술대학을 당시 최연소로 입학, 최고연주자과정을 마치고 덴마크 왕립음악원에서 솔리스트 디플로마를, 오벌린 음악원에서 아티스트 디플로마와 뉴잉글랜드 음악원에서 석사를 받았고 정준수, 김남윤, 이미경, 밀란 비텍, 마쓰코 우시오다를 사사하였다. Piano 최수연예원학교, 서울예고, 서울대 음대 및 대학원 졸업하였으며 서울시향, 서울 튜티 오케스트라와 협연, 유라시안 오케스트라, 바로크 합주단 객원 피아니스트로 활동하였다. 또한 Pan Music Festival, Kusatsu Music Festival, 통영국제음악제 초청 연주 및 2008~2014, Open Studio ’21 음악감독으로 5년여간 200여회의 하우스콘서트를 기획*연주했고, 한국예술문화위원회의 기금을 받았다. 2015년 도미하여 California에 거주하고 있으며 Waring International Competition Official accompanists(at Palm Spings), Amici International Music Festival staff pianist(at UC Santa Barbara, Pepperdine University), Violafest Los Angeles, Los Angeles Seoul Chorale, House Concerts 초청 연주, MTAC(Music Teacher’s Association of California) member, ASTA(American String Teachers Association)와 SYMF(Southwestern Youth Music Festival) Collaborative Artist로 USC, UCLA, Cal State Long Beach, Colburn School, UC Irvine 등 LA지역 학교 중심으로 활동 중이다. PROGRAMJean-Marie Leclair (1697-1764)Sonata for two Violins in e minor, Op. 3 No. 5Allegro ma pocpGavorra gracious – AndantePresto George Gershwin (1898-1937)Porgy and Bess(Transcriptions by Jascha Heifetz)Summertime / A Woman is Sometime ThingMy Man’s Gone NowBess, You in My Moman NowIt Ain’t Necessarily SoTempo di Blues Pyotr Ilyich Tchaikovsky (1840-1893)Souvenir d’un lieu cher for Violin and Piano, Op. 422. Scherzo3. Mélodie Intermission 유주환 ju-Hwan Yu (*1968)<Prometheus> for Violin Solo 독주 바이올린을 위한 <프로메테우스>Ensnared Prometheus (결박된 프로메테우스)A Workshop of Hephaetus All (헤파이토스의 대장간)Rocky Mountains of the Caucasus (코카서스의 바위산) Maurice Ravel (1875-1937)Sonata No. 2 in G Major for Violin and PianoAllegrettoBlues – ModeratoPerpetuum mobile - Allegro 
컨텐츠 저작권
서울 열린데이터 광장의 오픈API 및 공공데이터포털의 오픈API 서비스를 통해서 구현되었습니다.

사이트 정보

Copyright © Baragi.Net.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