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 > 부산 우암동 소막마을 주택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문화재 > 부산 우암동 소막마을 주택

문화재 정보

문화재 > 부산 우암동 소막마을 주택

본문

해방 이후 귀환 동포와 한국전쟁 중 부산으로 밀려드는 피란민들의 거주 공간 확보를 위해 ‘소(牛) 막사(幕舍)’를 주거시설로 변용(變容)한 것으로 당시 피난민의 삶을 잘 보여주고 있다. 또한, 산업화 시기 인근 지역에 조성된 공장, 항만 등으로 인해 이곳으로 유입된 노동자들의 생활공간으로서 오늘날까지도 그 기능을 유지해 오고 있다는 점에서 근대문화유산으로서의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일제강점기 일본인들은 오늘날 부산시 우암동 일대의 바다를 매립하여 산업시설과 함께 우리나라의 소를 일본으로 반출하기 위한 위생검역소 및 소막사 등의 시설을 조성. ‘우암동’이라는 지명은 오래전부터 이곳에 소(牛)의 형상을 한 바위가 있어서 붙여진 명칭이라 전해져 오고 있으나, 바다를 매립하는 과정에서 지형 변화로 인해 현재는 그 모습을 찾아볼 수 없음.
기록에 의하면, 당시 건립된 우막사는 모두 19동으로 알려져 있으며 ‘우암동 소막사’ 역시 그 중 한 곳임.
‘우암동 소막사’는 일제강점기 소(牛)들이 머물던 막사의 기능과 함께 해방 후 및 한국전쟁 당시에는 피난민들의 주거공간으로 사용되었으며, 그 후 산업화로 인해 도시로 몰려든 영세한 노동자들의 생활공간으로서 오늘날까지도 그 역할을 수행해 오고 있는 등 특수한 역사적 배경을 간직하고 있음.
기본 정보
문화재유형국가등록문화유산
지정호수715
문화재명부산 우암동 소막마을 주택
문화재명2釜山 牛岩洞 소幕마을 住宅
문화재분류등록문화유산
문화재분류2기타
문화재분류3주거숙박시설
수량1동(422.5㎡)
지정(등록일)20180508
소재지 상세부산광역시 남구 우암동 189-1123
시대해방이후 한국전쟁
소유자부산광역시 남구청
관리자부산광역시 남구청
관련 이미지 정보
부산 우암동 소막마을 주택(1)
부산 우암동 소막마을 주택(2)
부산 우암동 소막마을 주택(2023년 정기조사)
컨텐츠 저작권
문화재청 및 공공데이터포털의 Open API 서비스를 통해서 구현되었습니다.

사이트 정보

Copyright © Baragi.Net. All rights reserved.